-
-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등장인물들 생각에, 그리고 우리 엄마 생각에 책 읽으면서 이렇게 울어본 것도 오랜만이다.
등장인물 "엄마"는 뇌졸증을 그냥 지나칠 정도로 주변의 보살핌을 받지 못했다. 그게 젤 맘 아팠다. 우리 엄마도 10년도 전에 아버지가 교통사고로 입원하셨을 때, 대구에서 부산으로 출퇴근을 하시면서 병원생활을 하셨다. 그때 엄마도 사실은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순간이었다. 갑자기 그 생각이 났다. 등장인물 "엄마"는 서울에 올라오실 때마다 머리에 온갖 먹을 거리들을 이고 오신다. 우리엄마도 혼자 서울 사는 딸래미 준다고 어찌나 많이 들고 오시는지, 이걸 어떻게 혼자 들고 기차를 타셨을까 싶을 정도다. 나도 냉동실에 넣어놓고 먹지도 않는다면서 화를 냈다. 등장인물 첫째딸과 같이. 내가 보살핌이 필요했던 것처럼, 이제 부모님도 보살핌이 필요한 시기다. 그런 생각이 들자, 소설에 완전히 몰입하게 되고, 왈칵 눈물까지 쏟아졌다.
다양한 시각에서 한 여자의 일생이 그려졌고, 또 엄마도 "여자"라는 사실이 등장해서 좀 놀라기도 했고, 통쾌하기도 했다. 등장인물 "아빠"만 집을 나가고 다른 여자가 있으란 법 있나! 물론 등장인물 "엄마"가 정말 말 그대로 바람이 난 건 아니었지만, 그래도 "그 사람"이 있었다는 것이 다행이기도 하다. 그마저 없었다면 한 여자의 인생이 얼마자 팍팍하겠나.
이 이야기는 한 여자의 이야기, 그리고 한 가족의 이야기이다. 집집마다 소설로 만들만한 이야기 거리는 있을거다 싶다. 아마 이거 읽고, 이보다 더 구구절절한 이야기 우리집에 있소! 할 수도 있겠지. 분명한 건, "가족"은 서로를 보살펴 줘야 한다는 거다. 엄마가 자식을 보살펴 줬듯이, 이제 자식이 부모를 보살펴 줘야 한다는 것. 그것이 꼭 경제적인 것을 뜻하는 건 아니고, 엄마를 이해하고, 그리고 엄마의 희생을 강요해선 안된다는 거다. 엄마니까 다 해주겠지 하는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