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7세 조절하는 뇌 흔들리고 회복하는 뇌 - 조절 능력·정서 지능으로 키우는 ‘공부 뇌’ 발달 골든타임 육아
김붕년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23년 6월
평점 :
김붕년 교수님도 다를 게 없었다. 오은영 박사님, 천근아 박사님, 조선미 박사님... 모두들 한결같이 4-7세 시기에 자기조절력, 정서적 안정감, 몸으로 노는 놀이를 등을 강조하신다. 어쩜 너무 뻔한 말처럼 들린다.
하지만, 김붕년 박사님의 글 중에 인상적이 었던 것은 아이들이 완벽한 환경에서 자랄 수 없다는 것, 그래서 열악한 환경에서도 적응할 수 있도록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렇지! 그리고 마지막에 박사님의 캐나다 교실 수업의 경험을 들려주셨는데, 장애를 가진 학생이 함께 수업하는 장면에서 아이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어쩜 많은 부모들이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등 불편함이 있는 아이가 있다면 우리 아이와 같은 반이 되길 원하지 않는다. 방송에서 워낙 그런 뉴스는 많이 나왔다. 그런데 이 글을 읽으니 우리가 그들을 배척할 것이 아니라 우리 아이와 함께 잘 어울려 살 수 있도록, 우리 아이 역시 배워야 겠구나 싶었다. 어떤 환경에 노출되든 그것을 잘 다루어 낼 수 있는 능력! 그런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구나... 오늘 또 한 가지를 얻었다.
p134 또래 무리 속에서 지내는 경험을 꼭 제공해 주세요. 특히 협동 놀이는 나와 친구, 우리 유치원, 우리 학교, 우리 커뮤니티, 우리 동네, 우리나라, 나아가 인류와 생명체로 확장되어 가는 인식의 확장을 만듭니다. 결국 이것이 인간이 성장해 가는 과정이죠. 그래서 어느 순간부터는 ‘경쟁’보다 ‘상생’이라는 관점이 생기는 것입니다. 내 아이를 멋있게 키운다는 것은 공부 좀 잘하는 아이가 아니라 넓은 인식을 가진 아이로 키우는 것입니다.
p216 이 시기의 아이들이 유독 한 분야의 책, 특정 놀이, 하나의 놀잇감만 닳을 때까지 가지고 놀기도 하는데, 그대로 두어도 괜찮습니다. 아이는 지금 마음에 닻을 내리려고 몰입을 시도하는 것과 같으니까요. 이렇게 한 분야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충분하게 채우는 경험이 다른 분야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되고, 새로운 분야에도 깊이 있게 파고드는 태도를 만듭니다. 그렇게 되면 기존에 관심을 가진 분야에 대한 정보와, 새로운 분야에서 습득한 정보를 스스로 섞어서 새로운 통찰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p285 무엇보다 같은 반 또래 친구들의 반응이 놀라웠습니다. 조절 능력이 미숙한 친구가 수업 중 갑자기 소리를 지르거나 불편한 반응을 보이면 아이들은 ‘부정적인 반응’보다는 어디가 불편한지 궁금해하는 ‘관심’을 내보였습니다. 비장애인 아이들은 장애인 아이들을 경험하고, 교사의 대응 방법을 관찰하면서 나와 다른 친구들과 어떻게 함께 생활할 것인지를 학습해 나갔습니다. ‘나도 다음에는 어떻게 도와야겠다’ ‘모르는 척해 주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구나’등의 생산적인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으로 삼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