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딸에겐 아빠가 필요한 순간이 있다 - 공감과 소통에 서툰 아빠들을 위하여
김영태 지음 / 한울림 / 2022년 2월
평점 :
육아카페에 서평 이벤트가 있었다. <딸에겐 아빠가 필요한 순간이 있다> 일단 제목이 끌렸다. 육아하는 아빠라... 요즘 어린이집 등원할 때 아빠와 함께 하는 아이들도 더러 보이고, 문화센터에도 아빠와 함께 오는 아이들이 꽤 있다. 요즘 대세가 아빠 육아라 해도... 우리집만 하더라도 아이아빠가 늦게 들어오는 날이 많고 주말 근무까지 하게 되면 어느샌가 아이와 아빠는 서먹해진다. 그러니 모든 아이들에겐 아빠가 필요한 순간이 꼭 있는데, 딸에겐 어떤 순간일까??
3명의 딸을 키우는 저자. 큰 딸이 고등학생이라고 하니 아마 최소 17년은 딸의 아빠 역할을 한 셈이다. 모르긴 몰라도 17년 동안의 딸 아빠로의 고민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 중에서,
p149 "돈 없어!"라는 한마디 말로 정리할 수 있는 상황을 4절까지 읊어야 하니 말이다. "안 돼!"라는 말이, 슬픈 단어라는 것을 아빠가 돼서야 알았다.
이 부분은 왜 이렇게 확 와닿으면서 가슴 아플까...
3명의 딸을 키우다 보니, 육아 전문가다.
P41 혼자 할 수 있는 역량은 나이가 찬다고 해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능력이다. 연습할 기회도 없이 때가 됐다고 아이에게 "이제 혼자 할 때도 됐잖아?"하고 말한다면, 그건 너무 무책임한 태도가 아닐까?
P83 '간섭'의 눈으로 보면 지적할 것이 먼저 보이지만, '관심'의 눈으로 보면 필요한 것이 먼저 보인다. 내가 첫째에게 "똑바로 앉아서 먹어야지."하고 말한 건, 간섭의 눈으로 바라봤기 때문이다. '관심'의 눈으로 봤다면, 왜 불편한 자세로 앉아 있는지를 먼저 물었을 것이다.
p105 서로 감정이 격해졌을 때는, 감정의 부딪침밖에 일어나지 않는다. 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상대에게 상처가 될 뿐이다. 부모도 그렇고, 아이도 그렇다. 부모의 말에 아이가 상처 입듯이, 부모도 아이의 말에 똑같이 상처 입으니까.
P161 예를 들어, '의사가 꿈인 사람'과 '의사가 되어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는 게 꿈인 사람'은 의사라는 타이틀은 같지만,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된다. 그러니 아이들과 꿈을 주제로 대화할 때, 단순히 직업만 얘기할 것이 아니라, '사명'을 얹어서 얘기해 보는 것이 어떨까? '꿈'에 대해 아이와 진지한 대화를 나눌 수 있을 테니 말이다.
그렇다고 해도, 역시 엄마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는 건 인정하는 눈치다.
P57 사실 아이의 교우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 엄마다. 엄마라고 뭐든지 해줄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엄마의 친분이 곧 아이의 친분으로 연결될 때가 많기 때문이다.
여기서 한 가지! 이전에 읽었던 육아책의 내용과는 상반되는 부분이 있다. 혼내는 사람은 엄마, 중재자 역할을 하는 사람이 아빠 역할을 하라는. 육아는 그때 그때 필요한 사람이 개입을 해야 하는 것이지 역할을 나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알고 있었는데, 책육아와 현실육아는 다른 건가.... 3명의 딸을 키우는 아빠 입장에선 역할분담이 최선이었나보다.
P142 그동안의 육아 경험에서 그나마 잘했다고 자부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역할 분담이다. 그래서 결혼이나 출산을 준비하는 후배들에게도 꼭 이 말을 해준다. 역할 분담을 하라고. 아들이어도 딸이어도, 하나여도 여럿이어도, 모든 부모에게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잇는 처방전이라 믿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