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인생이라 부르는 것들 - 자기 삶의 언어를 찾는 열네 번의 시 강의
정재찬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밥벌이(생업, 노동), 돌봄(아이, 부모), 건강(몸, 마음), 배움(교육, 공부), 사랑(열애, 동행), 관계(인사이더, 아웃사이더), 소유(가진 것, 잃은 것) 

목차를 쭉 정리해 봤다. 한번쯤은 생각해보게 되는 주제들. 내 아이에게 엄마의 가치관을 그리고 아들에게 바라는 바를 말하고 싶을 때 나오게 되는 주제가 아닌가 싶다. 

밥벌이는 힘들었지만, 지금은 그 밥벌이를 해보고 싶고

맞벌이  엄마의 빈자리를 느꼈던 어린 시절에 대한 보상인지 늦은 출산 때문인지 내 아이에게 온전히 시간을 쏟아 돌봄을 하고 있고, 

지금은 건강하다고 느끼지만 건강엔 자만할 수 없다는 것도 알고,

학교 다닐 땐 공부를 못하는 게 콤플렉스 였는데, 지금은 그런 외우는 공부 말고 새로운 것들은 많이 많이 배우고 싶고,

아웃사이더여서 늘 인사이더가 되고 팠지만 지금은 아웃사이더도 괜찮다 싶고 

가지고 싶은 거 끝도 없이 많은 데 막상 뭐 살래, 뭐 가질래, 아니 뭐 필요해 물으면 "없어"라는 답이 나온다.

어떤 책은 읽으면서 너무 정곡을 찔러 답답하기도 하고, 아프기도 한데

이 책은 따뜻하다. 그래서 참 잘 읽었다. 목차도  맘에 든다. 내 인생을 저 목차대로 한번 정리해 보는 것도 좋겠다 싶다.  


p78 미래의 교사가 되길 꿈꾸는 제자들에게 제가 해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교육자가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신념이 뭔지 아느냐고, 사람은 변한다는 믿음이다. 그걸 믿지 못하면서 사람을 가르치려드는 것은 위선이거나 사기에 해당한다. 하지만 동시에 교육자가 꼭 갖고 있어야 할 지혜가 있다. 사람은 잘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걸 인정하지 않으면 교육은 훈육이 되기 일쑤다. 잘 변하지 않는 사람을 변하게 만들어야 하기에 교육은 힘들고 위대한 것이다. 


p153 요컨대 대상에 대한 적당한 거리와 시간의 간격이 필요합니다. 자신에게든 타인에게든 너무 일희일비하는 것은 마음 건강에 해당 됩니다. 자중자애 할 수 있도록 여유를 부여해줘야지요. 


p196 예를 들어 하늘길을 지휘하는 항공교통관제사의 경우, 정보처리 속도는 젊은이가 빠르지만 충돌 피하기 같은 위기관리 능력은 중년의 관제사가 더 낫다는 것이지요. 중년에 이르러서야 인생의 경험이 축적되면서 비로소 모든 조각들이 하나로 합쳐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수록 성실성, 자신감, 배려, 평정심도 발달한다고 하지요. 중년의 뇌는 의도적으로 긍정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도록 노력하기 때문에 감정에 대한 통제력이 증가되어 훨씬 더 침착하고 낙관적으로 사태를 바라볼 수 있다는 겁니다. 웬만한 일은 다 겪어봤으니까요. 감정의 통제력이 나아진 나이이기에 중년은 사랑보다는 역시 공부하기 딱 좋은 나이인 겁니다. 


p261 모욕을 받아도 저항하기는커녕 오히려 '정신적 승리'로 치환해버리는 주인공 아Q는 서세동점의 위기 속에서도 자존심만 비대했던 당시의 청나라와 중국민족을 빗댄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바로 지금 우리의 모습과도 많이 겹치는 게 사실인 것 같습니다. 물론 저는 정신 승리의 건강한 측면을 인정하고 옹호하는 편입니다. 때에 따라서는 정신 승리라도 해야 살아갈 수 있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고요. 하지만 자신까지 속이면 곤란합니다. 아니, 위험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