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참는 아이 욱하는 부모
오은영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육아의 달인, 육아의 신이라 불리는 오은영 박사님. 육아 관련 프로그램에 자주 나오시기 때문에 굉장히 익숙하다. 그리고 책은 다양한 사례, 역시나 친근한 사례들이다. 그래서 재미있고, 유용하다. 초보 엄마들을 위한 필독서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게 아니다.


여러 가지 사례들이 나오는 데 모두 "욱"하는 감정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p31 "내가 좀 욱하지만 뒤끝은 없잖아." 욱하는 사람들이 자주 하는 말이다. 화를 잘 내는 것을 자기표현을 잘하는 것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뒤끝 없다'는 말만큼 상대의 감정에 대한 고려가 빠진 말도 없다. 욱은 상대와의 관계에서 유발되는 감정이다. 그런데 '욱'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사람은 온통 '자기 입장'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내 감정만 중요하다. 마치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이 듣는 것에는 미숙한 것과 같다. 늘 자기감정을 표현하는 것만 우선시하기 때문에, 내가 이 표현을 했을 때 상대가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못한다. 정서가 잘 발달된 사람은 내 감정도 잘 포착하지만, 동시에 다른 사람의 감정도 고려한다. 그래서 과다한 감정은 싹 줄여서 표현한다. 


p41 아이데게 절대 욱해서는 안된다. 이것이 육아의 가장 상위 레벨의 가치다. 아무리 시간과 돈, 체력을 들여서 최선을 다해도, 부모가 자주 욱하면 그 모든 것이 의미가 없다. 


p45 독설이나 막말도 감정 조절이 부족하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다. '욱'의 한 모습이다. 그런데 그런 독설을 '충고'라고 하고, 막말을 '유머'라고 한다. 인기를 얻은 드라마의 캐릭터 중에는 유난히 버럭 캐릭터들이 많다. 그들은 하나같이 정의롭고 속 깊은 인물로 그려진다. 감정을 강렬하게 표현하지 않으면 정의롭지 않은 것인가? 그 자리에서 차분하게 이야기를 하면 굉장히 비굴하고 현실 타협적이고 정의를 포기하는 것처럼 그린다. 절대 그렇지 않다. 공분할 것은 당연히 공분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까지 버럭하는 것은 감정 조절 능력이 부족한 것이다. 


p64 가장 좋은 방법은 일부러 낯선 사람을 더 많이 만나게 할 필요는 없지만, 일상적인 것을 겪게 하는 것이다. 아이가 낯선 사람에 대한 경계심과 두려움을 낮추는 데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주면서, 낯선 사람을 만나는 경험을 늘려 가는 것이다. 그래야 그 경험을 좋은 방향으로 바꾸어 자기의 것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친척집을 방문했는데 아이가 심하게 울면, 그 자리에서 아이를 안고 가만히 있는다. 이때 아이를 안고 나가 버리면 다시 들어올 때 또 운다. 일단 집 안에 들어온 상태라면 자리를 이동하지 말고 가만히 안아 준다. 그때 주변 사람들도 아이를 쳐다보거나 말을 걸지 말아야 한다. 그것도 자극이다. 낯선 사람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잔뜩 받은 아이는, 지금 자신에게 가해진 자극을 힘겹게 처리하는 중이다. 새로운 자극이 추가되면 진정할 틈이 없다. 사탕이나 초콜릿을 준다며 달래는 것도 도움이 안 된다. 아이가  낯가림이 심할 때는 모두가 아이와 멀찍이 떨어져 각자의 일을 하고 있으면 된다. 


p105 힘의 균형을 이룰 정도의 자기를 지켜내는 당당함, 꿋꿋하게 버티는 힘, 이것을 '공격성'이라고 한다. 공격성은 옛것을 허물고 나만의 인생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운영하는 힘이다. 공격성이 적절하게 발달해야 다른 사람의 공격으로부터 나 자신을 지킬 수 있고, 새로운 일을 시작하고 새척해 나갈 수 있고, 힘들어도 견딜 수 있다. 공격성을 갖춰야 다른 사람과의 힘의 균형이 맞아 관계에서도 안전하고 대등하게 살 수 있다. 


p114 유아기는 사회적시선에 대한 발달이 아직 미숙하다. 이 시기 아이들에게 "너가 그러면 사람들이 싫어하잖아?"라고 말하기보다 세상을 살아가는 기본 질서와 지침만 전하면 된다.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뛰면 "봐, 사람이 많지? 이런 곳에서 뛰어다니면 부딪혀. 뛰면 안 돼"를 가르치면 된다. "여기는 여러 사람이 있으니까 네가 소리 지르면 안 돼. 네가 소리 지르고 울면 여기에서 나갈 수밖에 없어."라고만 하면 된다. 


p122 육아에서는 객관적으로 내 아이를 관찰해 봤을 때 문제점이 발견되면, 그것을 빨리 인식하고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빨리 도움을 받아야 한다. 부모의 사랑으로 아이가 더 잘 자라는 것은 분명하지만, 사랑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155 실패하면 이번에는 좀 더 강한 자극으로 누르려고 한다. 눈을 크게 뜨고 인상을 쓰면서 침을 들이마시며 "어허! 쓰으읍! 너 혼나!" 한다. 겁을 주어서 빨리 멈추게 하려는 것이다. 후자가 통할 때가 더 많을 것이다. 하지만 강압적으로 감정을 빨리 멈추게 하는 것은 명백한 공객이다. 옳은 방법이 아니다. 


p158 떼쓰는 아이를 달래는 첫 번째 황금 비법은 두 살 전까지는 적극적으로 달래 주되, 아이의 특성을 파악해 두는 것이다. 이 시기는 아이 스스로 감정을 추스르기를 지켜보고만 있어서는 안 된다. 달래면서 우리 아이가 어떤 특성이 있는지 잘 살펴야 한다. 


p191 자식을 키우면서 자신의 미성숙함도 드러나지만, 해결되지 않았던 자기 부모와의 관계의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는 것이다. 아이가 잘 안먹고 안 자는 상황이 마음속에 묻어 놓았던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 버리는 것이다. 


p197 요즘 부모들은 유아기 아이에게 먹는 것에 대해서 너무나 많고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의미를 주는 것 같다. 잘 먹어야 된다고 하면서, 어떤 것을 독이 된다고 말한다. 심지어 어린아이들에게 '해독'이라는 말을 쓰는 사람도 있다. 먹으라고 해 놓고 많이 먹으면 살이 찐다고 얘기한다. 많이 먹으면 키가 큰다고 해 놓고, 어떤 것을 먹으면 성장에 방해가 된다고도 말한다. 이런 것은 어른들의 개념이지, 아이한테 잘못 전달되면 큰 혼란만 준다. 아이한테는 '그냥 먹는 것은 즐거운 일, 잘 먹어야 잘 큰다' 정도의 메시지만 심플하게 전달하면 된다. 


p224 훈육의 방법은 연령별로 다르다. 0세부터 만 2세는 웬만하면 아이의 요구를 들어주는 게 좋다. 아주 위험하거나 건강에 해가 되지 않는다면, 대체로 원하는 것을 들어주어야 한다. 이 시기에는 부모에게 사랑받고 있고, 수용받고 있다고 충분히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 욕구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으면 오히려 심한 고집쟁이가 될 수도 있다. 규제와 통제는 먼저 신뢰와 사랑이 단단히 형성되어야 잘 배울 수 있다. 


p296 나와 부모와의 관계를 되짚어 보기 위해서는 전문가에게 심리 상담을 받거나, 책을 읽어 보는 것이 좋다. 또는 어린 시절 생각나는 중요한 기억 등을 종이에 써 본다. 무척 좋았던 기억, 속상했던 기억, 기분 나빴던 기억 등 중요한 사건들을 적어 본다. 욱하게 만든 사건과 관련된 감정적인 기억들을 자꾸 생각해 봐야 한다. 긍정적인 것이 많은 사람일수록 부모와의 관계가 놓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부모와의 관계가 백 퍼센트 좋기만 할 수는 없다. 저 깊은 무의식에 침잠되어 있는 기억은 쉽게 꺼내지지 않는다. 굉장히 많은 생각을 해 봐야 한다. 


p301 상대가 욱할 때 가장 좋은 대처는 사실 능청스러움, 유머와 위트다. "뭐 그렇게 화를 내실 것까지야" "고정하세요. 건강에 해로워요"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고 넘어가면 웬만해서는 자신이 당했다는 느낌이 안 든다. 이것은 매우 높은 자존감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유머와 위트는 리더십에도 굉장히 중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