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사회 - 타인의 공간에서 통제되는 행동과 언어들
김민섭 지음 / 와이즈베리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원을 다닐 때 지방시를 읽고 많은 공감을 했는데, 같은 작가의 책이다. 이번엔 대리기사로 살아가며 쓴 글이라 뭔가 서글픈 생각도 들었고.... 이렇게 가방끈 긴 사람이 이런 일을 해야 하나? 하는 그런 생각이 들어서. 그리고 역시 책만 읽고 글을 써대는 사람보다는 뭔가 깊이가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삶은 주체가 된다는 것, 대리인으로 살아간다는 것 등을 책으로만 공부한 사람들이 알 수 있을까? 안다해도 그걸  글로  썼을  때 독자의 공감을 얻어낼  수  있을까?

저자는 대리기사로 일하면서 대기업의 구조를  알게 되고, 갑과 을의 관계, 을들 간의 전쟁도 알게 되며, 술 취한 사람들을 상대하며 억울함도 겪는다. 그러면서 성장해  나간다. 생활형 글쓰기를 하신 분이다. 

지방시가 책으로 나왔을 때 대학이라는 갑이 자신을 밀어낸 것이 아니라, 같은  입장이었을 을들이  와서 자신을  책망했다고 말한  부분에서 가슴이 아팠다. 우리는 사실  본인이 어떤 위치인지 모르고  사는 것 같다. 내도  "을"이면서. 그리고  아기를 낳았는데, 시간강사들이 건강보험료가  겁나서 혼인신고를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부분도. 정말 왜 이렇게 열악한 건가? 

대리를 한 후, 복귀할 만한 콜을 못받아 걷고  또 걸었다는 부분, 그리고 잠든 아기를 집에 두고 아내가 함께 대리운전을  해주었다는 부분.... 열심히 일하는,  정직하게 일해서 돈 벌려는 모든 노동자들이 다 잘됐으면 좋겠다는 싶다. 그리고 여러 군데 대리 불러 놓고 먼저 온 쪽을 선택하고 나머지 대리는 취소해 버리는 경우.... 상대방도 생각해 줘야 하지 않나? 한 집안의 가장이 열심히 뛰어 가 헛탕치는 모습.... 맘 아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