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식 성평등 교육 - 집, 유치원, 학교에서 시작하는
크리스티나 헨켈.마리 토미치 지음, 홍재웅 옮김 / 다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웨덴식 성평등 교육이라고 하는데,

이제 우리나라도 이런 인식 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나라에서도 학교 선생님, 학부모들이 다 함께 봐야할 책이다. 읽으면서 이제 우리도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는 생각이 든 부분도 있고, 아닌 부분도 있었다.

 

특히, 아이들에게 남성다움 혹은 여성다움을 강요해선 안된다. 이런 건 말로 잘 들어나는데, 여학생이 주변을 어질러 놓으면 "넌 여자애가 이렇게..." 라고 말하게 된다. 아니라고 해도 무의식 중에 이런 인식이 박혀 있으니 말로 나올 수 밖에 없다. 무심코 뱉은 한 마디가 폭력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겠다.

 

p15 평등 교육을 통해 남성다움, 여성다움이라는 틀에서 벗어난 아이들은 활동 범위를 넓히고 수백 가지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p104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성차별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 아이의 가치를 평가하는 단어를 무심코 내뱉기도 한다.

같은 행동, 다른 언어

만지작거리다 만들다

설치다 활발하다

왈가왈부하다 토론하다

게으르다 여유롭다

산만하다 호기심이 많다

건방지다 자신감이 넘치다

까다롭다 세심하다

독하다 의지가 강하다

투덜거리다 예민하다

 

p110 모든 아이들, 특히 남자아이들과 대화를 많이 하세요. 긴 문장이나 새로운 단어, 어려운 단어를 적극 사용하세요. 이렇게 습득한 단어들은 아이들의 언어 구사력을 높여 줍니다.

 

p120 아무리 좋은 의도였다 해도 질문 자체가 실수일 수 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우리의 전통적인 가치관도 함께 변화하면 좋을 텐데, 그렇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 가족이라면 모름지기 이러해야 한다는 그림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많은 아이들과 그 가족들이 투명인간 취급을 받고 소외감을 느꼈다.

 

p136 ‘안 돼!’, ‘하지 마!’라는 말을 가급적 하지 마세요. 대신 아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말해 주세요. ‘창틀을 넘어가면 안 돼!’ 대신 밖에서 놀고 싶으면 문을 열고 나가렴이라고 말하세요. ‘길에서 뛰지 마!’ 대신 천천히 걸어가렴. 아니면 내 옆에서 뛰렴이라고 말하세요. ‘안 돼하지 마는 잔소리로 들리기 쉽습니다. ‘안 돼하지 마가 사라지면 오히려 아이들이 말을 더 잘 듣습니다.

 

p153 폭력적인 놀이를 눈감아 준 결과 아이들의 폭력이 일상이 되었다. 그 이유는 폭력을 놀이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 놀이터, 유치원은 모든 아이들에게 안전한 장소여야 한다. 어느 누구도 두려워하거나 맞거나 떠밀리는 위험이 없어야 한다.

 

p180 아이의 행동이나 성격을 표현할 때 잘한다’, ‘좋다외의 단어를 사용하세요.

과자를 만들었다고? 참 재밌었겠네.”

, 아주 멋지구나!”

기발한 아이디어가 많구나.”

집짓기할 때 보니 너 참 꼼꼼하더라.”

단순히 잘했다고 하지 말고 아이 스스로 경험한 내용을 설명하게 하세요.

방 청소 네가 했니? 어떻게 한 거야?”

부엌 수납장에서 이 그릇들을 어떻게 꺼냈니?”

아이들, 특히 여자아이들에게는 착하다는 말을 주의해서 사용하세요. 이미 여러 곳에서 착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있습니다.

아이가 하는 일을 평가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봐 주세요. 이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높은 나무에 잘 올라가네.”

그림 그리고 있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