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황하지 않고 웃으면서 아들 성교육 하는 법 - 성교육 전문가 엄마가 들려주는 43가지 아들 교육법
손경이 지음 / 다산에듀 / 2018년 3월
평점 :
내가 중고등학교 때는 가정, 가사를 여학생만 배웠는데, 그때 성에 대해서 선생님이 했던 말이 기억난다. 여자의 성은 칫솔이라고. 결혼 전에 칫솔을 쓰는 건 변기에 칫솔을 떨어뜨리는 것과 같다고 했던 말. 그때는 그랬는데....
대학에서 교수가 여학생들도 다 같이 있는 교실에서 남학생들에게 10번 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며 남자는 여자가 싫다 해도 계속 들이대야 한다는 말을 했었다.
만약 지금 이런 말을 수업시간에 했다면 난리가 났을 법 하다.
시대가 바뀌고, 인식도 바뀌고, 아들가진 부모든 딸 가진 부모든 이 책은 좋은 참고 자료가 된다.
내 자신을 돌이켜 보면, 가장 중요한 "자기결정권"과 "존중"의 개념을 잘 알고 있었나 하는 생각도 든다.
상대가 폭력적인 말을 하거나 행동을 했을 때, "자기결정권"과 "존중"을 알았더라면 더 상큼한 연애를 하지 않았을까?
이 책에도 선생님은 지금까지 남자 몇 명이랑 자 봤어요?" 같은 질문을 하는 남학생들이 등장한다. 소개팅 자리에 나갔을 때 나도 이런 어이없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는데, 이건 상대를 존중하지 않기에 질문의 수위를 조절하지 못한 것이다. "존중"한다면 "당연히 다른 사람들에게도 성에 대해 선을 넘는 질문을 하지 않습니다.(p118)"
아기를 키우는 집에 가거나, TV에서도 친척들이 여럿 모여있을 때 아기에게 "뽀뽀"하면서 볼에 뽀뽀해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요즘은 이런 장면들이 나도 어색하다. 이제는 이러면 안돼죠~
"아무리 가까운 사람이라도 자신의 몸을 함부로 만지는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도록 해야 합니다. 가족 사이에서도 스킨십을 할 때 허락을 구하도록 하는 자기결정권 교육이 그래서 필요한 것입니다.(p162)"
""너는 여자애니까" "너는 남자애니까" 이런 표현들이 모두 젠더폭렵입니다.(p195)"
젠더폭력이란 용어가 나온다. 여자애니깐, 남자애니까, 이런 말로 성 고정관념을 심어주는 것은 안좋다는 건데, 아이 육아에서 아무리 부모가 이런 표현을 안쓴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이런 말을 해버린다면.....
미투 운동이 벌어졌을 때, 그리고 최근 뉴스에서도 한 남자가수가 3-4년 전에 성폭행을 했다고 신고한 여자가 있는데, 이런 걸 보면서 주변 사람들이 말한다. "왜 지금와서 그러냐고."
"바로 거부 의사를 명확하게 밝히는 피해자도 물론 있지요. 하지만 그러지 못하는 피해자도 많습니다. 순간적으로 몸이 굳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고, 가해자와의 관계를 감안해 머릿속에 복잡해져서 그런 것일 수도 있고, 또 다른 이유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유가 무엇이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피해자는 피해는 입었다는 사실 그 자체로 피해자로 인정받는 것이 당연합니다.(p249)"
혐오발언에 대해서도, "혐오 발언을 하는 것은 그 자체로 자신의 삶의 태도와 직결됩니다. 혐오 발언을 하는 사람이 진정으로 다른 사람을 존중할 수 있을까요? (p.253)"
성교육을 위한 추천도서도 잘 정리되어 있다.
1. <엄마와 함꼐 보는 성교육 그림책> 시리즈 중,
1. 내 동생이 태어났어 / 2. 나는 여자, 내 동생은 남자 / 3. 소중한 나의 몸 (비룡소)
2. <슬픈 란돌린> / 카트린 마이어 / 문학동네어린이
3. <좋아서 껴안았는데, 왜?> / 이현혜 / 천개의바랍
4. <이럴 땐 싫다고 말해요!> / 마리 프랑스 보트 / 문학동네어린이
5. <성교육을 부탁해> / 이영란 / 풀과바람
6. <성교육 상식사전> / '인간과 성' 교육연수소 / 길벗스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