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nd Color Harmonism - 음악이 흐르는 컬러 배색 사전
김길호.백정기 지음 / 임프레스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인간에게는 5감 (혹자들은 6감이라고도 한다) 이 존재한다. 시각 , 촉각, 미각, 청각, 후각이 그 5가지 존재인데 , 감각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공감각이라고 불리는 감각이 그것이다. 이것은 두가지 이상의 감각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고,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후천적인 노력으로 습득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간단하게는 음악을 들을 때 색깔을 보고, 글자를 보면서 맛을 느끼는 현상이 공감각이라고 하겠다. 신경학적으로는 학자들은 태아의 뇌 발달시 , 감각 신경 회로들이 교차된 상태로 성장해서 (일반인들은 교차된 상태에서 분리된 상태로 발달한다.) 하나의 감각이 흥분할 때, 다른 감각이 연쇄적으로 반응한다고 한다. 이런 공감각은 예술가들에게서 빈번히 보고 되고 있고 , 그들의 상상력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칸딘스키 같은 경우도 음악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하곤 했었다. 이렇게 예민하게 감지하는 사람들 외에도 사람들은 대중적으로 공감각을 인식한다. 컬러의 경우 , 컬러와 언어적 심상을 접목 시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 공감각적 감수성이 더 중요하기도 하다. 이 책은 음악적 심상 언어들을 분류하고, 그 심상 언어에 맞는 컬러 배색들을 나열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즉 음악 이론을 색채에 접목시켜 탄생한 하모니 컬러 시스템을 설명하는 책인 것이다. 음색상호 변환 및 배색원리가 색채과학 분야라 약간은 생소하지만 , 그래도 책에 나와 있는 배색과 도판들을 너무 딱딲하지 않으니 , 색채 과학과 공감각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읽어볼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und Color Harmonism - 음악이 흐르는 컬러 배색 사전
김길호.백정기 지음 / 임프레스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인간에게는 5감 (혹자들은 6감이라고도 한다) 이 존재한다. 시각 , 촉각, 미각, 청각, 후각이 그 5가지 존재인데 , 감각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공감각이라고 불리는 감각이 그것이다. 이것은 두가지 이상의 감각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고,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후천적인 노력으로 습득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간단하게는 음악을 들을 때 색깔을 보고, 글자를 보면서 맛을 느끼는 현상이 공감각이라고 하겠다. 신경학적으로는 학자들은 태아의 뇌 발달시 , 감각 신경 회로들이 교차된 상태로 성장해서 (일반인들은 교차된 상태에서 분리된 상태로 발달한다.) 하나의 감각이 흥분할 때, 다른 감각이 연쇄적으로 반응한다고 한다. 이런 공감각은 예술가들에게서 빈번히 보고 되고 있고 , 그들의 상상력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칸딘스키 같은 경우도 음악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하곤 했었다. 이렇게 예민하게 감지하는 사람들 외에도 사람들은 대중적으로 공감각을 인식한다. 컬러의 경우 , 컬러와 언어적 심상을 접목 시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 공감각적 감수성이 더 중요하기도 하다. 이 책은 음악적 심상 언어들을 분류하고, 그 심상 언어에 맞는 컬러 배색들을 나열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즉 음악 이론을 색채에 접목시켜 탄생한 하모니 컬러 시스템을 설명하는 책인 것이다. 음색상호 변환 및 배색원리가 색채과학 분야라 약간은 생소하지만 , 그래도 책에 나와 있는 배색과 도판들을 너무 딱딲하지 않으니 , 색채 과학과 공감각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읽어볼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und Color Harmonism - 음악이 흐르는 컬러 배색 사전
김길호.백정기 지음 / 임프레스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인간에게는 5감 (혹자들은 6감이라고도 한다) 이 존재한다. 시각 , 촉각, 미각, 청각, 후각이 그 5가지 존재인데 , 감각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공감각이라고 불리는 감각이 그것이다. 이것은 두가지 이상의 감각이 동시에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고,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후천적인 노력으로 습득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간단하게는 음악을 들을 때 색깔을 보고, 글자를 보면서 맛을 느끼는 현상이 공감각이라고 하겠다. 신경학적으로는 학자들은 태아의 뇌 발달시 , 감각 신경 회로들이 교차된 상태로 성장해서 (일반인들은 교차된 상태에서 분리된 상태로 발달한다.) 하나의 감각이 흥분할 때, 다른 감각이 연쇄적으로 반응한다고 한다. 이런 공감각은 예술가들에게서 빈번히 보고 되고 있고 , 그들의 상상력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 칸딘스키 같은 경우도 음악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하곤 했었다. 이렇게 예민하게 감지하는 사람들 외에도 사람들은 대중적으로 공감각을 인식한다. 컬러의 경우 , 컬러와 언어적 심상을 접목 시켜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 공감각적 감수성이 더 중요하기도 하다. 이 책은 음악적 심상 언어들을 분류하고, 그 심상 언어에 맞는 컬러 배색들을 나열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즉 음악 이론을 색채에 접목시켜 탄생한 하모니 컬러 시스템을 설명하는 책인 것이다. 음색상호 변환 및 배색원리가 색채과학 분야라 약간은 생소하지만 , 그래도 책에 나와 있는 배색과 도판들을 너무 딱딲하지 않으니 , 색채 과학과 공감각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한번 읽어볼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자인의 디자인
하라 켄야 지음, 민병걸 옮김 / 안그라픽스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디자인이라는 말을 들으면 우선 고개를 갸웃한다. 그리고 물어본다. "무슨 디자인을 말씀하시나요?" 디자인은 미술과 마찬가지로 무한한 하부영역을 가지고 있다. 크게는 제품, 시각, 미디어 디자인으로 나뉘고 있고 이 분류는 각각의 디자인이 담당하고 있는 소재와 직결된다. 제품은 제품과 관련되어 있고 , 시각디자인은 시각에 의존하는 평면적인 요소들( 이런 개념이 정립된 것이 근대기 때문에 종이 혹은 인쇄 관련 소재와 연결된다) 그리고 미디어 디자인은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모든 것, 기존의 평면적이고 2차원적이던 시각디자인 영역이 멀티 미디어와 만나면서 시각 뿐만이 아닌 영상, 음악, 인터랙티브 등과 접목되고 있다. 하라 켄야는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컨셉디자이너이다. 그는 서두에서 이렇게 말한다. 저는 그림도 그리고, 사진도 찍고, 포스터도 만들고 브로셔도 만듭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컨셉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사물을 다르게 보는 것 하나 만으로도 다른 세상이 보입니다. 미칠듯한 정보과잉의 시대에서 우리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려고 집착하는 것보다 기존의 사물, 기능을 다르게 바라봐야만 합니다. 이 책은 그가 그동안 작업을 진행하면서 세운 그의 디자인 철학을 다루고 있다. 그는 현대의 일본 디자인을 선배들이 내어놓은 고속도로를 질주하다, 다시 도로 옆의 숲으로 들어가 헤매고 있는 상황이라고 묘사했다. 그래서 비움이 중요하고 본질이 중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그의 디자인 철학은 미니멀하면서도 지극히 일본적이다. 간결하면서도 군더더기 없는 그의 디자인은 촉각적 감수성을 더하려 하고 있다. 군더더기를 다 버린 심플한 디자인과 색상의 무인양품 Muji를 기억하는가. 원점에서 플러스가 아닌 마이너스로 생각하기. 하라켄야를 통해 조금은 배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한옥에서 풍경놀이를 즐긴다 - 창으로 만들어내는 한옥의 미학 이상의 도서관 29
임석재 글.사진 / 한길사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옥은 불편했고 추웠다. 어렸을 적 시골에 있던 한옥은 춥고 어두웠다. 발을 내딛으면 삐그덕 소리가 울려퍼졌고 , 문을 닫아도 황소 바람이 들이치곤 했었다. 겨울에는 그지 없이 가기 싫은 곳이 시골 한옥집이었는 데, 여름에는 내켜하곤 했다. 장지문을 확 열어 바람을 쐬고 , 대청마루에 주저앉거나 드러누우면 시원 했던 듯 하다. 하지만 가장 인상 깊던 건 , 대청마루 뒤로 뚫린 공간에서 직사각형으로 보이던 뒷뜰 혹은 장독대들이었다. 독일에 와서 제일 아쉬웠던 것 중 하나는 내가 한국의 것들에 대해 너무 몰랐다는 거다. 독일의 집들이 왜 이렇게 생겼는지는 물어보면 알 수 있었고 , 찾아가면 볼 수 있었지만 한국의 집들은 이제 내키면 찾아가기에는 너무 먼 이국의 집들이 되었다. 그런차에 이책을 구해 읽게 되었다. 활짝 열리는 문들을 액자 삼아 집을 곱씹어 보는 발상이 유쾌했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창문과 문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과 밖을 연결하고 안을 밖으로 만들기도 , 그 반대로 만들기도 하는 것이다. 이런 창문과 문의 속설을 가지고 임석재 씨는 한옥에서 풍경을 즐기자고 한다. 사방에 난 문과 창문을 통해 시시각각 변하는 풍경을 풍경화 삼아 , 한옥이 어떻게 집을 어떻게 재미있게 만들어 사람을 집안에 머무르게 했는가 를 찾고 있다. 저가는 한옥을 한국의 중첩된 풍경과 동일시 해서 봐야 한다고 한다. 겹치고 겹치는 산등성이들의 물결처럼 , 한옥도 수평적으로 그 풍경을 겹친다. 한옥은 서양의 집들처럼 하늘을 향한 건축은 아니지 않은가. 이책의 내용 중 한국 문화나 환경의 특질에 100% 동의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가 한옥을 단순히 기능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지 않았고., 그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한옥은 꽤 흥미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집안이 재미있어야 집에 머무르게 된다는 그의 주장에는 진심으로 고개를 주억거리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