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이었던 남자 - 악몽 펭귄클래식 76
G. K. 체스터튼 지음, 김성중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체스터턴은 좋아하는 기독교 작가 C.S.루이스 덕분에 알게됐다. 두 작가는 함께 영국에 살았는데, 체스터턴이 30년 정도 선배가 되겠다. 루이스가 간간히 체스터턴을 인용하며 이야기를 꺼내길래 관심을 갖게 됐다. 루이스는 주로 체스터턴의 종교적인 글-체스터턴은 가톨릭 신자이다-을 인용했는데, 내 관심도 거기에 있다. 추리 소설 작가로 유명한데, 종교적 색채의 글도 상당히 남겼다. 개인적으론 내년 상반기에 번역 출간된다는 <The Everlasting Man>을 기다리고 있다. 

  <목요일이었던 남자(The Man Who Was Thursday)>는 체스터턴의 장기인 추리 소설이다. 서로의 정체를 알 수 없는 경찰들이 무정부의자를 추적하며 생기는 에피소드이다. 서로를 무정부의자로 알던 이들이 실은 모두 경찰이었고, 무정부주의자 단체의 두목마저 경찰임이 밝혀진다. 소설이 발표되는 1908년 무렵은 유럽 전역에 연이은 무정부주의자의 테러로 사회가 혼란했던 시절이다. 무정부주의자들의 테러가 꽤 심각했던지 역시 영국에서 활동하던 작가 조지프 콘라드도 그리니치 천문대 폭파 사건을 소재로 한 소설 <비밀요원(The Secret Agent)>을 체스터턴에 한 해 앞선 1907년에 발표한다. 기독교인이 되어가던 체스터턴은 무정부주의자들의 사회 파괴 행동에 맞서 사회를 수호하는 경찰들-실은 종교인들-을 꺼낸다. 물론 경찰과 종교인이 당시 사회를 수호했는지는 의문이지만.

  문제는 이 과정을 그려내는 작가 고유의 스타일인데 몽환적 분위기 속에서 사건을 따라가다보면 인물 역시 사람인지 그 이상의 존재인지 헷갈린다. 압권은 일요일이라 불리던 무정부주의자 단체의 두목인데, 그는 소설의 시종 내내 신적인 아우라를 지닌다. 그는 사건을 해결할 생각은 별로 없고, 동료 경찰들과 숨바꼭질 놀이를 하다 정체를 드러낸다. 정체를 드러냈대서 해결될 건 아무 것도 없는데, 소설은 그리 끝난다. 성경 구절을 조금 비튼 잠언투의 말을 흘리며 소설에서 빠져나가는 일요일을 보며 작가와 함께 무책임한 인물이라는 생각을 했다.  

  눈에 더 거슬리는 건 작가가 지닌 유럽, 특히 서유럽 중심의 사고였다. 폴란드를 비롯한 동유럽 사람들의 외모에 대해 비아냥 대고 아시아인에 대해선 과한 공포감을 드러낸다. 예컨대 이런 대목이다. 주인공 사임의 생각인데, 난데없이 '중국인들의 침략'을 떠 올리며  '거대하고도 무자비한 위험이라 말한다.(51면) 중국인이 영국을 침략한 적이 있나? 그저 야만으로 생각하던 아시아인에 대한 근거 없는 비하와 공포감이다. 이런 표현도 있다. "중국 사람들이 갑자기 스코틀랜드 말을 하는 것처럼 아주 낯설었다."(84면) 자꾸 아시아인을 걸고 넘어진다. 아시아인이 무정부주의 단체를 결성한 것도 아닐텐데 이러는 걸 보면 작가 내면에 숨은 오리엔탈리즘이 슬몃 슬몃 새나오는 장면이라 하겠다. 체스터턴 추리 소설의 재미를 말하기에 앞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Gilbert Keith Chesterton(1874-1936)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이 2010-08-18 2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정부주의자들의 이름을 목요일이니 일요일이니 하는 '요일'로 붙인 것이 아주 재미있네요. 이게 무슨 의미를 가지는 걸까요? '중국인들의 침략'은 페르시아, 러시아까지 이르렀던 칭기스칸의 침공을 의미하는 건 아닐까 하는 의문도 드네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8-18 22:22   좋아요 0 | URL
맞아요. 말씀을 듣고보니 몽골인의 침략을 뭉뚱그려 중국이라 한 것도 같네요. 이 것도 생각해 보니 제대로 알지 못함이네요. 제대로 불러줄 줄도 모르구요. 덕분에 중요한 걸 깨닫네요. 고맙습니다^^
요일로 이름을 붙인 건 성경을 차용한 듯 해요. <창세기>에 요일마다 각기 다른 창조물이 있는데, 각 경찰들도 개성이 뚜렷하거든요. 특이 일요일은 신적인 모습인데, 일요일은 주일(主日)이라고도 하잖아요? 작가의 종교적 배경을 살펴보면 그런 것도 같구요.

반딧불이 2010-08-18 23:05   좋아요 0 | URL
아항..요일 이름이 종교적 배경이군요. 저도 한 수 배웠습니다.

2010-08-19 01: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8-19 19: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다이조부 2010-08-19 0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것도 편견이겠지만 저자 사진이 인종차별주의자 같은 인상을 풍기네요 ^^


파고세운닥나무 2010-08-19 09:43   좋아요 0 | URL
그런가요? 작가는 190센티미터가 넘는 장신이라고 해요.
저 시대를 살았던 기독교인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어요. 당시 영국은 미국과 더불어 선교사를 가장 많이 파송하던 나라인데요. 그들이 아시아나 남아메리카를 선교지로 생각했을지, 식민지로 생각했을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어요. 물론 선교사 나름의 문제이겠지만 체스터턴도 보통 영국 기독교인의 생각에서 그리 벗어나 있지는 않은 듯 해요.
그저 흥미로운 추리 소설가라 말하는 건 무책임한 듯 해, 비판적으로 읽어 보았습니다.

미지 2010-08-19 0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그런' 면이 있군요... 그러다 보면 과거의 중국 문헌도 묵과할 수 없겠는데요...
중화의 위엄을 지키기 위해서 규정해야 하는 오랑캐, 그 이데올로기의 기원에 대해 중국인들이 성찰해야겠지요. 왕후이는 신중히 음미하고 있습니다만, 대부분의 중국인들과 지식인들이 중화의 부활 또는 제국의 동양화를 꿈꾸는 것 아닌가, 하고 저는 요즘 생각하고 있습니다. 왕후이가 좋은 것은 그 흐름을 타자화하려는 처절한 노력인데요... 저는 고진, 왕후이를 읽으면서도 결코 동의할 수 없는 어떤 빈자리가 조선의 유민들에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파고세운닥나무 2010-08-19 09:50   좋아요 0 | URL
일전에 모교에서 중국의 망명 시인 베이다오를 초청해 강연회를 연 적이 있어요. 반체제 작가인데, 미국에 망명해 살아가는 작가입니다. 노벨문학상 후보로도 오른 적이 있는 미국과 중국에선 꽤 알려진 시인입니다.
제가 중국이 아시아에서 갖는 대국주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는데, 정색을 하며 절대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어요. 좀 놀랐는데, 저는 한국인이라면 알고 있고, 느낄 수 있는 중국의 위상을 물었는데 황당한 답이 와서 당황했습니다. 중국은 동양과 서양을 말할 때 동서라 하지 않고 중서라 하죠. 자신이 동양을 대표한다 생각하니까요. 이런 걸 예로 들며 물었는데 말이죠.
중국의 현체제를 싫어해 망명했대서 중국의 대국주의를 싫어하는 건 아닌거죠. 언젠가는 조공을 받았던 시대처럼 회복해야 할 위상이라 생각하는 듯 해서 씁쓸했습니다.

다이조부 2010-08-19 1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베이다오 라는 이름을 처음 접해서 검색해 봤어요~ 군대에 있을때 이 아저씨가

방한했군요~ 정말 2년 이라는 별것 아닌거 같은데 입대년과 전역한해 를 빼고 오롯이

군생활한 2004년 1년은 저에게는 다치바나 다카시를 흉내내면 수수께끼 시간이네요 ㅋ

책도 04년 05년에 출판된 책들을 확인하게 되면 다시 한 번 살펴보게 되더라구요

강박인가? ^^



파고세운닥나무 2010-08-19 12:02   좋아요 0 | URL
저도 그 시절 생각하면 무언가 휑한 느낌이에요. 텅빈 느낌이라고도 할 수 있겠구요.
베이다오는 시선집을 구해볼 수 있어요. <한밤의 가수>인데, 대표작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방한을 기념해 출간되었죠.
한 10년 전쯤에 고려원에선가 베이다오 연구서를 펴냈는데, 도서관에나 있을거에요, 아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