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사 숙녀 여러분, 가스실로 - 폴란드 ㅣ 창비세계문학 단편선
타데우쉬 보로프스키 외 지음, 정병권.최성은 엮고 옮김 / 창비 / 2010년 1월
평점 :
표제작이 <신사 숙녀 여러분, 가스실로>이다. 소설 제목의 무서움에 이끌려 책을 집었는데 역시나 내용도 무섭고 슬프다. 작가인 타데우쉬 보로프스키는 유대계 폴란드인으로 아우슈비츠를 체험했는데 소설엔 그 경험이 녹아있다. 작가는 같은 열차에 실려 아우슈비츠에 도착한 유대인을 사살하는 작업을 하는데, 자신과 주변 사람들이 어느새 그 작업을 그저 귀찮고 피곤한 일로 여기게 됨을 슬프게 고발한다. 작가는 폴란드 문학의 기대주로 주목받다, 수용소 귀향 6년 만에 돌연 가스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10년 만에 로베르토 베니니의 <인생은 아름다워>를 다시 봤다. 이전에 미처 몰랐던 걸 몇 가지 발견했는데 레싱 박사의 상징성이 그 중 하나이다. 시종일관 수수께끼에 골몰하는 레싱 박사는 휴머니티가 말소된 기능적 지식인의 한 상징이라는 생각을 했다. 가족의 안위에 애가 탄 주인공 귀도에게 수용소에서도 심각한 모습으로 수수께끼를 내는 레싱의 모습은 유대인 시체를 태우며 베토벤 교향악을 들었다는 독일 병사의 일화처럼 슬펐다. 베토벤 음악의 본질은 무얼까? 그 음악과 유대인들의 비명 사이엔 무엇이 놓여져 있을까? 유대인을 실은 숱한 열차를 아우슈비츠로 보낸 아돌프 아이히만이 전범 재판에서 가장 즐겨 읽는 책이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이라 답했다는데(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칸트는 그 책에서 무엇을 말했나?
또 한 가지 아우슈비츠에서 살아 남은 도라-귀도의 아내-가 어떻게 살아갈지가 궁금했다. 10년 전 영화를 본 이후로 아우슈비츠 작가들이 대부분 자살로 생을 마감한 걸 알게 되었다. 프리모 레비와 장 아메리가 대표적일 듯 한데, 이젠 타데우쉬 보로프스키까지 포함해야겠다. 도라와 조슈아의 생환을 즐겁게만 받아들일 일이 아닌게 되었다.
Tadeusz Borowski(1922-1951)
着語 : 책엔 표제작 말고도 좋은 소설이 많다. <파문은 되돌아온다>(볼레스와프 프루스)는 중편은 종교에 대한 비판과 긍정을 동시에 해내는 수작이다. <쿠오바디스>의 작가로 유명한 헨릭 시엔키에비츠의 단편 <등대지기>는 약소국 폴란드의 현대사를 비추며 등대의 빛처럼 아련한 아름다움을 던져준다. 보석 같은 소설이 이리 많은데 여태 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