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자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41
김은국 지음, 도정일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1964년 작품이다. 당시까지만 해도 서양에 알려진 한국의 문학은 전무하다시피 했다. 독일의 이미륵은 <압록강은 흐른다(Der Yalu fließt)>(1946)란 소설로 이름을 알리는데 한국의 풍광과 풍습이 그들의 눈엔 기이했을 것이다. 미국에도 비슷한 시기에 강용흘이란 작가가 있었는데 제목부터 그저 서양인의 호기심을 동하는 <동양인 서양에 가다(East goes West)>(1937)를 펴냈다. 이들 소설에 쏠린 관심은 일종의 호기심이었을 것이다.  

  김은국이 특별한 건 호기심 정도의 서양의 관심을 일정 부분 뛰어넘고 있기 때문이다. "특이하군."이란 생각을 넘어 "너희도 우리처럼 이런 고민을 하고 있나?"하는 관심을 끌어내고 있다. 이 건 실존주의와 연결시키면 좀 더 뚜렷이 이해할 수 있다. 1960년대면 한 풀 꺾이긴 했지만 실존주의가 아직은 유효했을 때이다. 전쟁을 겪은 한국에서 실존주의적인 작품을 써냈으니 관심이 동했을법 하다. 작가는 이 소설을 알베르 까뮈에게 헌정하고 있기도 하다.

  실존주의를 유신론적 실존주의와 무신론적 실존주의로 나눈다면 <순교자(The Martyred)>는 무신론에 해당한다. 이 주장이 성직자(신목사)를 통해 이루어지니 꽤 충격적이다. 순교를 이념의 선전수단으로 여기는 장대령과 맞서 사건의 진실을 말하는 신목사가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진술을 한다. 이 소설과 소설적 구조가 거의 흡사한 엔도 슈사쿠의 <침묵(沈默)>은 이런 면에서 썩 흥미롭다. <순교자>가 발표된 이듬해(1965년)에 발간된 엔도 슈사쿠의 <침묵>은 배교한 성직자(신부)를 다루지만 끝내 "신은 존재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어느 편에 설 것인지는 개인의 판단이지만 말이다.

  한국문학의 소개에 대해선 한 마디 더 거들고 싶다. 근래 주목받는 한국 작가들의 작품은 대체로 관념적이고 실존적이다. 이청준과 이승우를 예로 들 수 있겠는데, 이 시선엔 "너희도 우리처럼?"이라는 입장의 동일함을 담고도 있지만, 뉘앙스를 달리하자면 "너희가 이런 고민까지?"란 신기함을 말하는 시선도 깔려있다 하겠다.  

 

               김은국(1932-2009)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이 2010-06-16 0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처음들어보는 작가네요. 문득 파고세운 닥나무님이 무슨 일을 하시는 분인지지 궁금....

파고세운닥나무 2010-06-16 09:23   좋아요 0 | URL
문학 전공하는 학생입니다. 국문학을 전공하다 지금은 중문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노이에자이트 2010-06-20 1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소설이 영화화되었을 때 그 내용때문인지 일부 개신교신도들이 상영반대운동을 하기도 했지요.하지만 김은국씨의 정치성향은 철저히 한미동맹 반공지향이라서 보수파 인사들과의 친교가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파고세운닥나무 2010-06-20 16:49   좋아요 0 | URL
김은국은 한국전쟁을 현역 군인으로 경험하고 미국으로 떠났죠. 미군인의 도움으로 말이죠. 그런 그에게 미국은 구세주였을테구요.
노벨문학상 후보였다는 후광 때문이겠지만 이 소설을 높이 사는 것엔 고개를 젓게 됩니다. 전후 선우휘 등이 보여준 반공 소설들과 별 다르지 않구요. 구세주의 나라 미국의 언어로 씌어진 당시 유행하던 실존주의가 살짝 가미된 소설일 뿐이지요.
영문학자인 김욱동 교수가 김은국의 작품을 다룬 책을 펴냈던데 영문학계야 그렇다쳐도 호들갑을 떨만큼 대단한 소설은 아니라는 생각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