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영희프리즘>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리영희 프리즘 - 우리 시대의 교양
고병권.천정환.김동춘.이찬수.오길영.이대근.안수찬.은수미.한윤형.김현진 지음 / 사계절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에 들어와 리영희의 문명을 듣고난 후 구입한 책이 <轉換時代의 論理>였다. 굳이 한자로 적은 건 그 땐 이 책이 창비신서에 속해 붉은 색 표지에 한자로 저리 적혀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같은 출판사에서 개정판도 나왔고, 한길사에서 리영희 저작집으로도 나와 있는 걸로 안다.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말하는 사람들의 평이 부담스레 다가왔다. 물론 내겐 '전환' 같은 건 없었으니 그가 평론 혹은 논문에서 말하는 이야기들이 책을 대할 즈음에는 그닥 새로운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기억에 남는 건 중국에 대한 과도한 기대였는데 후에 신영복 교수를 알고난 후 두 사람이 중국에 관해선 의견이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시큰둥한 마음이 리영희의 자서전인 <역정>을 읽으며 바뀌었다. 짧은 감상에 그 때 했던 생각을 담아봤다. "어찌 이리 솔직할 수 있을까?  솔직하기에 또한 대담하다.  리영희는 자신이 용렬하다지만 그 정도도 용렬이라면 보기 드문 용렬이다. 자신은 남한 사회의 철저한 이방인이기에 솔직함만이 미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자신의 삶과 역사 앞에 이렇듯 솔직하고 성실한 사람을 만나게 된 것이 반가웠다.  

  리영희의 절필 선언을 알게 된 후 그의 새로운 글을 볼 수 없다는 아쉬움이 컸다. 하지만 원로랍시고 사람들과 언론으로부터 잊히지 않고자 궤변을 쏟아내는 노인네들과 그는 얼마나 다른지? 헛 된 소리가 나오지 않게끔 자신을 틀어쥐는 용기와 절제는 가히 드문 경지다. 노촌 이구영이 뜻을 새겨 준 '無涯惟智'(지혜만이 한계가 없다)가 그는 참으로 어울리는 사람이다. 리영희는 '옷깃을 여밈'이 한갓 수사가 아님을 알게 하는 사람이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이조부 2010-03-06 02: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영희 의 절필 선언을 두고, 김종철의 평가 가 생각나네요.

김종철은 리영희가 우리사회에 끼친 긍정적인 점에 수긍하지만,

파리의 에벨탑을 보고, 감탄하는 리영희를 보면서, 그런 태도로는 이 시대에

적합하지 않다고 했던게 기억나네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3-06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의 서문을 쓴 홍세화도 같은 각도에서 비판할 수 있겠죠.

결국 리영희의 대안도 사민주의가 될텐데, 그들에겐 프랑스가 일종의 현실적 대안이 될테니까요.

홍세화도 프랑스를 비판하는 걸 거의 보질 못했구요.

김종철의 에콜로지는 사민주의도 결국 근대의 한 방법론일 뿐이라 생각하는 거구요.

다이조부 2010-03-06 15:31   좋아요 0 | URL

홍세화 를 비판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는 측에서는, 프랑스의 현실에

경도되어, 무조건적으로 프랑스를 옹호하는것 아니냐고 보는것 같은데,

홍세화도 그런 시각을 인지하고 사회적인 발언을 하는것 같습니다.

김종철의 글을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 그 분의 견해에 저는 동의하는 바가

많습니다. 경제성장만이 절대적인 선 인가 의문을 제기하면서, 우리의 대안

이 경제성장제로 가 될수도 있다고 피력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김종철의

견해가 절대 다수의 사람에게는 근본주의적이고, 현실에 적합하다고 보는

사람은 거의 없는것 같아요.

아~ 이렇게 잘 모르는 이야기를 주저리 늘어놓으니까 땀 나네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3-06 15: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종철의 진의를 잘 이해하시는 것 같아요.

우리가 당연하다 생각하는 걸 김종철은 근본적으로 엎어버리죠.

전에 이청준을 비판하는 걸 보고 마음이 아팠지만 김종철이 비판하는 각도에선 이청준도 부족함이 많은 사람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이조부 2010-03-07 02:12   좋아요 0 | URL

김종철의 이청준 비판은 읽지를 못했는데, 강준만의 이청준 비판이

엉뚱하게 떠오르네요. 강준만은 이청준에게 예를 표하면서 논의를 시작하는데

지역문제에 관한 것이었어요. 이문열을 옹호하는 이청준을 보면서 전라도

출신인 이청준이 그러면 곤란한거 아니냐? 하는 내용으로 기억합니다.

이청준이 세상을 뜬 후, 그 양반의 소설 2권을 구입했습니다. 게을러서

읽지 못했는데, 맨날 책은 안 보고 겉 표지만 만지작 거리고 있죠 --

이청준 소설은 학창시절 읽은 것들 말고 본격적으로 읽은게 아쉽게도

하나도 없네요~ 이청준의 소설은 아니고, 일상에서 이야기인데, 담배를

끊기 너무 힘들다고 말하는 이 할배를 보면서 깊은 동감을 느꼈어요 허걱


고종석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3명의 소설가를 꼽자면, 최인훈 과

이청준을 거론하더군요. 한명은 기억이 안나네요 ^

노이에자이트 2010-03-06 21: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문화혁명에 대한 시각에서 리영희에 대해 정반대되는 사람이 신영복이라고 생각했습니다.혹시 두 사람의 중국관이 비슷한 곳을 알려주실 수 있으신지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3-30 16:20   좋아요 0 | URL
우선 두 사람 모두 혁명을 기대하죠. 저는 <강의>를 보며 신영복의 혁명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게 되었는데요. <강의>를 읽고 적어본 감상입니다. "중국과 중국의 향후 행보가 시대적 문제의 대안이 되리라는 확신 때문이겠지. 난삽한 고전들을 관통하며 갈무리 해내는 것도 자신의 신념에 대한 다짐이리라. 혁명이 과연 대안이 될까? 리쩌허우와 류짜이푸의 대담집인 <고별혁명>을 공교롭게도 같이 읽었다. 제목처럼 혁명에 고별을 전하는 책이다. 중국식 혹은 중국이 겪은 혁명과 우리식 또는 우리가 겪은 혁명이 다를테다. 혁명 - 정확히는 문화대혁명이겠지만 - 이 싫어 중국을 뛰쳐나온 지식인 둘과 여전히 제대로 된 혁명이 없다며 혁명을 기다리는 우리의 지식인이다."
전에 신영복이 번역한 다이허우잉의 <사람아 아, 사람아!>를 보면서도 문혁에 대한 역자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는데요. 이 책이 문혁의 상처를 말하고 있지만 문혁의 의미를 부정하진 않죠. '상흔문학'에서도 다이허우잉은 문혁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하지 않는 작가로 분류되구요.


노이에자이트 2010-03-07 14: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용한 답변 감사합니다.

동대문도서관 2010-07-27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동대문도서관 입니다^^
『근대의 책 읽기』 저자 천정환 교수님의 강좌 <독자, 그들의 대한민국 - 근현대 문학과 독자의 문화사>가 9월 7일부터 매주 화요일 7시에 동대문도서관에서 열립니다.

강의에 관한 더욱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blog.daum.net/ddmlib/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