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공간>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역사의 공간 - 소수성, 타자성, 외부성의 사건적 사유
이진경 지음 / 휴머니스트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학은 경계가 모호한 학문이다. 동아시아의 전통에선 문사철이 모여 인문학을 이루다보니 통상 역사는 인문학의 한 분야로 여겨진다. 서구는 사정이 좀 다른 듯 한데, 역사를 사회과학의 하나로 본다. 언론인 송건호가 역사를 열심히 공부한 것도 그것이 사회과학도 - 그는 법학도이다 - 의 의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진경의 이 책을 처음 받았을 때 조금 엉뚱하다 생각했는데, 책을 읽다보니 사회과학자의 제 임무라 여겨지기도 했다. 이진경은 사회학에서 시작해 경제학으로 그리고 역사학까지 사회과학의 전분야를 섭렵하고 있다.  

  정혜윤 피디의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를 보면 이진경에 관한 꼭지가 있다. 학창시절 그가 수학을 무척 좋아했다고 하던데 <역사의 공간>을 보니 그는 여전히 수학을 벗하고 있었다. 이진경의 책을 대하며 늘 하는 생각은 그가 친절하다는 것이다. 그는 <자본>을 친절히 설명해주며 들뢰즈와 가타리를 소개해 준다. 지식소매상은 유시민만이 아니다. 그가 이 책에선 역사학자가 주목하지 않은 감춰진 - 물론 그 감춤은 강한 의도를 지닌 것이다 - 역사를 우리에게 친절히 소개해준다.   

  역사는 시간의 축적일텐데, 공간을 말함은 정지해있는 시간 속엔 차별이 없기 때문이다. 머져리티를 주목할 것인지, 마이너리티를 주목할 것인지는 역사가의 마음이다. 이진경은 소수자를 선택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이조부 2010-02-20 07: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호적인 단평이네요 ^^

고종석이 제목은 기억 안나는데, 어떤 기본교양수학 관련서적을 보면서 이해가 안 된다고

투덜거릴때 그 자리에 있던 이진경이 정말 그 책이 이해 안 가냐고 놀라워 했다는 대목이

고종석의 책 중에 나오는게 생각나네요~ 수학도 완전 바닥이어서 저는 고종석에게 더 동감을

이진경은 80년대에 24살 이라는 어린 나이에 데뷔해서 후에 지식사 에서는 사회구성체논쟁

이라는 뚜렷한 자취를 남긴 현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전설만 들었어요~

우석훈은 이진경을 2차 저자 라고 평가하는데, 저는 이런 역할도 필요하지 않나 싶지만

이진경에 관하여 읽어본게 거의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진중권의 친구라는 정도밖에 몰라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2-20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별 특별할 것도 없이 있는 척 하는 사회과학자들보단 이진경 같은 소매상이 독자들에겐 더 필요하고 고마울지도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