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우주에 떠다니는 미세한 모래 입자 위에 한 인간의 삶이 묻어 있다. 그가 살았던 장소와 그가 썼던 기계들이 남아 녹슬고 있다. 그의 손길이 멀어진 상태에서 그것들은 바람과 모래, 그리고 그 위에 쌓이는 세월에 휩쓸려 서서히 분해될 것이다. 그와 비슷한 모습으로 만들어져 사랑으로 생명을 유지했으나 이제는 폐물이 되어버린 기계를 포함해 코리 씨가 사용했던 모든 기계들이... 환상의 지대에 버려져 있다.-24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고문은 잘못된 일이고, 로봇을 못 쓰게 만드는 것은 재산 손괴 행위이지만 사람을 못 쓰게 만드는 것은 살인 행위라는 확신의 기초에는 감각력 개념이 놓여 있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우리가 단지 상실로 인한 자기연민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생각과 즐거움이 영원히 사라졌다는 사실에 이해할 수 없는 고통을 느끼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23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심리학자 데이비드 셰리와 댄 샥터는 이 사고방식을 더욱 확대했다. 그들은 메모리 체계에 가해지는 여러 공학적 요구들이 종종 엇갈리고 충돌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자연선택은 유기체에게 전문적으로 '분화된' 기억 체계를 부여함으로써 그 문제에 대응했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각각의 기억 체계에는 동물의 마음이 완수해야 하는 과제들의 요구에 최적으로 맞춰진 연산 구조가 있다. 예를 들어, 겨울에 꺼내 먹기 위해 씨앗을 숨겨 놓는 새들은 은닉 장소를 위한 용량이 큰 기억을 진화시켰다.(호두까기새는 1만 군데를 기억한다.) 수컷이 암컷을 유혹하거나 다른 수컷을 위협하기 위해 노래를 하는 새들은 노래를 위한 넉넉한 기억을 진화시켰다.(나이팅게일은 200곡을 기억한다.)-20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전설에 따르면 터키 제국의 고관인 시사 벤 다히르는 체스 게임을 발명한 후 인도의 왕 시르함에게 겸손한 보상을 요구했다고 한다. 그는 체스판의 첫 번째 칸에 밀 한 알을 놓고, 두 번째 칸에 두 알을, 세 번째 칸에 네 알을, 네 번째 칸에 여덟 알을 놓는 식으로 체스판을 채워 달라고 요구했다. 예순네 번째 칸에 이르기 훨씬 전에 왕은 왕국의 모든 밀이 상으로 나갈 것임을 깨달았다. 그가 요구한 상은 2000년 동안의 세계 밀 생산량에 해당하는 2조 부셸이었다.-19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무리지어 다니는 동물을 사냥하는 포식자는 수영장 술래잡기 전략에 따라 무리 중의 한 마리를 추적해야 한다. 즉, 당신이 '술래'라면 숨을 쉴 기회를 주지 말고 한 사람을 집중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냐에서 동물학자들이 마취총을 쏜 누의 뿔에 페인트 표시를 해서 자료를 수집하려 했다. 그들은 표시를 한 동물을 무리로 돌려보내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회복시키려 했지만, 그 동물은 약 하루 만에 하이에나의 사냥감이 되었다. 한 가지 이유는, 페인트 표시 때문에 하이에나가 그 누를 구별하고 지칠 때까지 추적하는 것이 쉬웠다는 것이다. 얼룩말의 무늬에 대한 최근의 견해도, 말의 줄무늬가 키 큰 풀과 뒤섞이기 위한 것-항상 의심스런 설명이었다-이 아니라 얼룩말 무리를 살아 있는 야바위 노름으로 만들어 한 마리만을 추적하려는 사자와 기타 포식자를 혼란스럽게 만들기 위함이라는 것이다.-1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