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기술 - 출간 50주년 기념판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간단한 연애 지침서를 읽어 보고, 연애감각을 좀 키워볼까 하는 요량으로 제작년엔가 사뒀다가 기대했던 흐름이 아니어서 덮어 놓고 있었는데...
2년이란 시간이 흘러서일까? 아님 조금 성숙해서 일까? 집중하여 읽을 수 있었다.
먼저, 이 책은 연애를 잘 하려면 이렇게 해야 한다는 지침이 적힌 가벼운 책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어떻게 보면 종교서적 같기도 하고, 철학책 같기도 하고, 심리학 책 같기도 한 총괄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고 해야 하나...
자본주의사회로 접어들면서 우리는 스스로를 최고의 상품으로 만들고 상대를 상품화하여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비싼 옷을 입고, 비싼 음식과 명품백을 들고 좋은 집에서 사는 것을 로망으로 하고 있지만, 그런 이들에게 즐거운지 물어봤을때, 흔쾌히 그렇다는 대답을 알기는 어렵다.
연애나 결혼이란 것도 어느새 상품가치가 서로 있는지 두들겨 보고, 시작하게 되니... 사랑이란 것을 서로에게 찾는 다는 것은 참으로 힘든일이 아닐 수 없다.
단지 자본주의 사회이기 때문일까? 아닐 것이다. 자신에 대해 자기 자신이 모르고 있기 때문에 내면을 바라볼 줄 아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사랑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빠져들기가 어려운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처럼 엄청난 희망과 기대 속에서 시작되었다가 반드시 실패로 끝나고 마는 활동이나 사업은 찾아 보기 힘들다.(본문 활용)"
사랑이란 것 두 사람이 눈에 불피 붙고 서로에게 빠져들어서 ... 뭐 그런 건데..
정신분석하자 프롬이 신앙과 연결하여 접근하는 사랑이란 감정은 매우 복잡하면서도 심오한 것이다.
사랑은 준다는 의미와 보호, 책임, 존경, 지식이 함께 어우러진 것으로 훈련과 인내와 습득이 필요한 능력이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결의이며, 판단이며 약속이란 것이다. 인스턴트같은 사랑에 익숙해져, 신데렐라가 되기를 꿈꾸는 지금의 세대에게 따끔한 생각의 일침을 가하는 책이 아닐까 싶다. 더불어, 이런 사랑의 위대함을 이야기하는데 대물림되는 사랑에의 애착과 사랑을 줄 줄 알고 받을 줄 아는 사람으로 키울 수 있는 부모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어머니는 삶에 대한 신념을 갖고, 지나친 걱정을 해서는 안된다. 아버지는 참을성이 있고 관대해야 한다." 완전한 헌신속에서 자신을 바치고, 자식에게 모든 걸 걸었던 부모님과 비슷하게 살 자신이 없어서 결혼이나 누군가를 받아들인다는 것에 주저하는 누군가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프롬만의 방식으로 풀어낸 이 책의 내용을 다 말하기는 힘들것이다.
상처받은 영혼으로 상처받은 영혼들을 구제하는 방법으로 조금은 남성적인 측면에서 접근한 프로이트와 비교하여 남성성과 여성성을 적절히 섞은 프롬의 심리학 접근이 마음에 든다.
결국 그가 말하고자 하는 사랑의 기술의 키포인트는 자신부터 사랑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
심오한 그의 말.. "자기 자신을 줄 수 있는 사람은 부자이다."
내 자신엔게 되물어 본다. 나는 내 자신을 온전히 내어줄 수 있는 사람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