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왜왜 동아리 ㅣ 창비아동문고 339
진형민 지음, 이윤희 그림 / 창비 / 2024년 10월
평점 :
오~~오랜만에 새로 올라온 진형민 작가의 책이다.
왜왜왜동아리? 뭘까? 무엇을 탐구? 찾는 것? 바다가 보이는 주택가앞에 얼굴을 빼꼼히 내밀고 있는 4명의 친구들~ 그들의 이야기를 열어보자.
2년째 과학동아리에 들어가 열심히 해서 이제는 실험도구만 봐도 어떤 실험인지 알아맞힐 지경인 록희와 수찬! 동아리 시간에 혼자 놀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록희는 혼자 놀아도 되는 자율 동아리를 만들자고 제안한다. 동아리 시간에 혼자 놀면 왜 안돼? 그런 규칙을 왜 전부 선생님이 정해? 우리한테 물어보지도 않고 왜 마음대로 정하냐고! 투덜대다가 문득 떠올린 왜왜왜 동아리! 귀찮지만, 머릿수 채워주는 수찬. 3명이 모여야 해서 기다리던 중 아슬아슬하게 마음을 접으려던 그때 진모가 이름을 적고, 아주 작게 한 친구가 더? 이록희, 박수찬, 조진모, 한기주. 총 4명이 모여 동아리가 결성된다.
궁금한 걸 같이 파헤친다기에 들어왔다는 기주. 자신사정을 먼저 파헤쳐 달란다.
첫번째 미션은 다정이를 찾아라. 기주의 사정은 이렇다.
저 윗마을에 산불이 나서 전학오게 되었고, 산불이 나서 모두가 대피하는 과정에서 목줄을 풀어놨던 반려견 다정이를 챙기지 못했고, 그 다정이의 행방을 찾아달라는 것이다.
용해시 시장의 딸인 록희(록희덕에 시장이 된 아빠지...)는 비서오빠에게 부탁하여 윗마을 사건현장에 가게 되고, 다정이를 보면 연락을 주라는 전단지도 붙이고 혹시 모르니 다정이의 밥도 챙겨주고 내려온다. 며칠 뒤, 다정이와 비슷한 개를 동물보호센터에서 데리고 있다고 해서 갔는데, 그 개는 꼬리색이 다른 옆집 할머니 개였다. 그런 개가 들어오면 연락을 주겠다는 말을 듣고 내려온 것이 기주의 마무리 같았다.
두번째 미션은 조진모. 진모는 학교에 얼마 남지 않은 저 아래 바닷가 동네 아이이다. 진모는 딱히 할 건 없지만, 말하다 보니 진모의 누나가 금요일마다 학교에도 가지 않는 머릿속이 궁금하다고 푸념하게 되고, 누나는 왜 자꾸 학교에 안 가는지 조진모 누나 파헤치기!가 미션이다.
금요일마다 일 인 시위하러 시청 앞으로 가는 진모 누나의 사정은 무엇일까?
이렇게 전혀 상관없는 일들이 벌어지는 속에서 알고 보니 모두다 연결이 되어 있었다.는 구조로 만들어내는 작가들의 머릿속이 참 신기하고 놀랍다.
다정이와 조진모 누나 조다르크 조진경, 록희, 수찬?이는 충실하게 왜왜왜 동아리를 하다보니,
정말 개인적인 사정으로 시작했는데.. 소소한 일상을 흐뭇하게 읽고 있다 다시 자세를 고쳐 앉게 된다. 개인적인 일이 결국은 마을의 일이고, 마을의 일이 곧 국가, 국가의 일이 곧 이 지구 전체와 연결되게 된다. 그것은 바로 기후 환경 문제이다.
단순히 산불이 났고, 석탄 발전소가 마을에 생기게 되면서 진모를 비롯한 바닷가 마을 사람들이 터전을 버리고 떠나야 했고, 록희 아버지는 용해시를 살리기 위해서 발전소를 들여 와야 했을 뿐... 이라고 생각했는데..... 세상에 우연히 여러번 반복되는 일은 그다지 많지 않다... 모두가 연결되어 있었다. 내 일이 아닌 것 같은데, 그것은 사실 가장 중요한 내 일이기에 우리는 따로 살지 않고 함께 살아가기에 더욱 연결되어 있고 관심을 가져야 한다?
경제적인 이야기로 어느덧 사라져버린 인간미가 요즘 꽂혀있는 생각이었다.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마치 세기말적인 생각에 사로 잡혀 꼰대적인 말만 하는게 고작이었는데.. 아이들이 때론 어른보다 더 어른스러울때가 있다. 동화속 아이들이 그렇더라. 교육받지 못하는 다른 나라 친구들을 위해 기꺼이 연대하던 모습을 보여주었던 #말랄라의 마법연필 속 장면과
#왜왜왜동아리 속 함께 팻말들고 웃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이 기특하게 겹쳐보인다.


록희는 축구 경기를 볼 때마다 생각했다 골대에 공을 넣은 사람만 박수받는 건 불공평하다고. 슛을 쏜 사람에게 공을 패스한 사람도 그만큼 칭찬받아야 한다고 - P64
기주는 요즘 마음이 이상했다. 다시는 할 수 없는 일들, 다시는 볼 수 없는 것들이 생각날 때마다 불쑥불쑥 화가 치밀었다. 왜 하필 우리한테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우리가 대체 뭘 잘못해서 이런 일을 당해야 하는지, 누구라도 붙잡고 따지고 싶었다. - P76
다른 사람의 마음을 속속들이 이해하는 건 불가능했다... 마음이 가지 말아야 할 곳으로 정신없이 달려갈 때마다 아이들이 기주의 이름을 불러 주었다. 그래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었다. 기주도 누군가에게 그런 사람이 되어 주고 싶었다. - P161
역시나 어른들은 이것저것 따지는 게 많아서 용감해지기가 어려웠다. - P167
남들이 안한다고 우리까지 안 하면 진짜 희망이 없잖아. 우리부터 노력해야 세상이 좋아질 수 있는 거잖아. - P1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