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폭력에서 왜 남자들만 가해자 취급하는가.
Sex- 개인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 성별을 의미했으나 18세기부터 그 의미가 확대되어 성행위를 나타내는 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Gender- 개인이 출생한 이후에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인 환경에 의해 학습되어진 후천척으로 주어진 남녀의 특성
Sexuality- 개인의 성격, 감정, 행동뿐 아니라 성적인 존재 및 성별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 성이란 성에 대한 신념, 태도, 가치관, 지식, 그리고 개인의 성행태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남자들이란 생물학적인 남성이라기보다는 남성스러운 고정관념을 갖고 있는 집단을 말한다. 그 속에는 생물학적인 성에 남성이 많을 뿐, 소수의 여자도 있을 수 있다.
2. 성폭력에서 원하지 않을 때란? 의사표현은? 저항은 어느 정도로 해야하나? (법적인 부분은 좀 더 공부를 해야 정리가 될 것 같고,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폭력이란 힘을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가하는 위해이다. 그렇다면 힘, 혹은 권력은 누가 가지고 있는가. 미디어나 사회는 누가 남자답고 여자다운지를 사회화시킨다. 예컨대 남편보다 돈을 많이 버는 아내는 남편을 기죽이지 않으려고, 돈 많이 번다는 티를 내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남자의 자격지심을 자극하지 않고 힘이 경제력에서 나온다는 생각이 반영된 행동이다. 섹스를 요구하는 경우는 남자가 많다. 남성은 성을 누려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런 환경은 남성이 상황을 주도적으로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게 한다.
만약에 남자와 단둘이 있는 상황에서 남자가 여성에게 성행위를 요구할 경우를 생각해보자. 물리적인 힘뿐 아니라 분위기를 망치지 않으려고, 상대방을 불쾌하지 않게 하려고, 혹은 관계를 망치지 않기 위해 여성은 별다른 의사표시나 저항 없이 남자의 요구에 응할 수 있다. 그럼 이때는 성폭행으로 볼 수 있을까?
사람들이 성폭력을 당한 여성에게 늘 궁금해하는게 있다. 그건 얼마나 저항했는지,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표현했는지다. 먼저 의사표현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생물학적인 여성은 사회적으로 자기 주장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지를 받은적이 없다. 도리어 공감하고, 이해하고, 관용적인 태도를 보일 것을 주문 받아왔다. 그런 여성이 억압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성행위를 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대로 밝히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성폭력에서는 의사표현보다 여자가 '자발적으로 그 상황을 즐겼는가'에 초점을 둬야한다. 침묵은 동의가 아니고 웃는 것도 좋아서가 아니다.
남자 학교에서 남학생들이 서로 치고 받는 경우는 단순한 싸움으로 끝난다. 하지만 여학생들이 몸싸움을 하는 것은 학교 폭력으로 받아들인다. 사회는 여성의 폭력에 관용적이지 않다. 성폭력에서 여성이 정말 죽을 힘을 다해 저항했는지의 여부 역시 연장선상에서 볼 수 있다. 여성의 생애에서 몸으로 저항하고 누군가의 의사에 격렬하게 반하는 행동을 해본적이 없다. 그런데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위협적인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저항하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그렇다면 가해자는 여자의 의사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성폭력 가해자에게 주로 시키는 교육의 내용은 공감 훈련이라고 한다. 여성이 자발적으로 성행위에 동참하는게 아니라면 성폭력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걸 잘 모르겠다면 아예 섹스할 시도조차 하지 말아야 한다.
3. 자발적인 성행위를 하고선 상대방에게 성폭력을 당했다고 주장한다면?
선의의 피해자가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그렇지만 무척 드물다. 사회적인 시선과 여전히 가부장적인 법 감정, 입증하는 지난한 재판 과정까지 감내하면서 합의금 때문에 성폭력을 당했다는 주장을 펴기란 어렵다.
4. 추행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시선에 담긴 내용이 다르다. 같은 여성이라도 오랫동안 자신을 보는건 별로다.
5. 성폭력을 당한 여성은 정말 심각한 피해에 인생 전체가 송두리째 바뀌는가.
성폭력을 당한 사람은 엄청난 고통을 겪을까? 어떤 상황이든 개인이 가진 역량, 힘의 문제에 따라 감정과 대처하는 방법이 다르다. 성폭력인줄 몰랐다가 나중에 생각해보니 성폭력이었다는 것을 알기도 하고, 자신이 당한 폭력을 대수롭지 않게 볼 수도 있다.
오히려 문제가 되는건 '성폭력을 당한 여성은 이럴 것이다'라는 사회적인 시선이다. 피해자 유발론은 그 중 끈질기게 피해자를 자책하게 하는 논리다. 도둑 맞았다고 문단속을 안 한 피해자에게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을까? 또한 순결을 상실했다는 상실감도 여성을 피해자화하는 기제 중의 하나이다.
6. 아동 성폭력은 요새 더 일어나는 일인가.
15년 전까지는 언론에 강간이란 표현 자체가 나오지 않았다. 단순 폭력으로 넘겼던 성폭력을 의제화시키고 인식하는 과정에서 아동 성폭력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다. 아동 성폭력이 문제가 되는건 성적인 학대 뿐 아니라 아동이 그 나이에 해나가야할 발달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는 이유도 있다.
혼자 해나가기엔 벅찬 공부였다. 수업 내내 감동을 받고 정리를 했지만 투박하고 거칠다. 여성주의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직도 한참 멀었다. 성폭력에서 의사표현과 저항은 중요하지 않다는걸 알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여성의 전화에서 진행하는 인권강사 양성교육은 정말 진짜다. 강사가 안 돼도 좋다. 궁금했던걸 물어볼 수 있고, 나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까지 알 수 있으니 일석 오십만조다.
선생님께 교재 외의 참고 자료를 여쭸더니 자기 머릿속에 있다는 말씀을 하셨다.
스스로 자기가 길을 찾아서 걸어가야하는거라니, 여행이 따로 없다.
선생님이 추천해주신 책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