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출근하려면 버스를 두 번 타야한다. 직장까지는 걸어서 1시간 30분 거리니까 그리 먼 거리는 아니다. 다만 한번에 가는 버스가 없어서 좀 불편할 뿐이다.

 

그렇게 6개월쯤 보냈을까. 드디어 한번에 가는 버스를 발견했다. 303-1번 버스로 종점이 인천공항인데 그간 내 눈에 들어오지 않은 건, 인천공항으로 간다는 것만 알았지 그 반대방향에는 관심이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요금도 일반시내버스보다 비싸다.

 

그러다가 7월30일을 기점으로 인천시내버스 노선이 전면 개편되어 버스노선을 찬찬히 살펴보다가 303-1번이 직장 근처를 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간 나와는 무관했던 이 버스가 드디어 눈에 들어오더니 차창 밑에 적어놓은 버스요금도 눈에 들어왔다. 1650원. 일반버스보다 400원이 비싸다.

 

좌석버스와 일반버스를 타면 11개의 정류장을 거치는데 이 공항버스는 3번 째 정류장에서 내리면 되는, 말 그대로 직선거리를 총알택시처럼 한달음에 달린다. 좌석버스는 승객이 많아서 입석으로 가는 사람도 많은데 이 공항버스는 마치 나를 위한 전세버스같다.

 

좌석버스엔 출근하는 사람들의 긴장감과 피곤함이 차내를 무겁게 짓누르고 있는데 반해, 공항버스는 밤새 비행기를 타고 온 사람들의 헝클어진 머리칼과 씻지 못한 부스스한 얼굴이 여행의 여독을 잔뜩 품고 있다. 그들 옆에는 막 여행을 끝낸 캐리어 따위가 덜컹거리고 있다.

 

40~45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이 공항버스를 만나기는 사실 쉽지 않다. 대강 시간을 파악하고 시간에 맞게 나가 있어도 만날 확률이 높지 않다. 10여분 후에 오는 공항버스를 타겠다고 당장 코앞에 온 좌석버스를 놓칠 수 없기 때문이다. 좌석버스는 중간에 다른 버스를 갈아타야하지만 버스에서 내려 5분 정도만 걸어가면 되는데에 반해, 공항버스는 빠르게 도착하지만 10분을 걸어가야 한다. 아침마다 시간과 비용을 비교하며 버스를 타야하는 건 고충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렇게 잔머리를 굴려가며 순간의 선택을 하지만 직장에 도착하는 시간은 별 차이가 없다.

 

그래도 선택을 해야한다면, 공항버스를 택하고 싶다. 이유는 단 하나, 여행에서 돌아온 사람들의 온몸에 남아있는, 미쳐 떨쳐내지 못한 먼 이국의 냄새를 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내게, 목수정의 이 책은 너무나 잔인하게 다가온다. 반쯤 읽다가 책을 덮었다. 글솜씨도 좋고 읽는 맛도 참 좋은데...마음이 아파서 못 읽겠다. 파리에 가게 된다면 그때 읽어주리라. 기다리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