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눌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1
헤르만 헤세 지음, 이노은 옮김 / 민음사 / 200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1907년~1914년에 걸쳐 각각 출판되었다가 한 권으로 출간된 것은 1915년이라고 한다. 딱 100년 전이다.

 

백 년 전이라고는 하나 그때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것은 그리 다를 것 같지 않다. 학교 다니고, 졸업하면 직장 구하고, 직장을 구하면 결혼해서 애 낳고...방랑자 크눌프의 주변 인물들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모두 이 대열에서 벗어나 있지 않다. 만나는 친구들마다 정착하지 못한 크눌프를 향해 훈수를 두는 것도 어디서 많이 본 모습이다.

 

크눌프가 세상에 나온 지 백 년이 지난 지금, 크눌프의 인생은 그저 소박하게 보인다. 백 년 전에 비해 더욱 심화된 자본주의 사회에서 크눌프처럼 살아가는 일이 실제로 가능할 것 같지 않다. 집 밖을 벗어나면 온통 돈이 지배하는 세상인데 어떻게 그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있겠는가. 아니다. 이 책이 나왔을 때도 아마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 같다. 이 책이 백 년에 걸쳐 회자되는 걸 보면 그렇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니까 문학 속 인물로나 꿈을 꾸게 되는 거고 그것으로 마음을 달래보는 것일 터.

 

라틴어고 뭐고 간에 당시의 내겐 결국 특별히 중요할 게 하나도 없었다네. 자네도 아다시피, 난 언제나 예민한 감각을 가지고 있어서 무언가 새로운 것을 뒤따라가게 되면 한동안은 이 세상에 다른 것이 아무것도 없는 것처럼 여겨지곤 했었거든. 체조를 할 때도 그랬고, 그 다음에 송어 잡이를 할 때, 그리고 식물학을 공부할 때 그랬었지. 바로 그 당시에는 여자 문제가 그랬어. 거기서 따끔한 맛을 보고 직접 체험을 얻게 되기 전까지는 다른 건 하나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지. 사실 전날 저녁에 소녀들이 목욕할 때 훔쳐본 것을 은밀하게 떠올리느라 정신없는 사람이, 학생이라고 의자 위에 웅크리고 앉아 동사변화를 연습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우스운 일 아니겠나.

 

이 부분이 처음에는 아름답게 느껴졌다. 무언가 하고 싶을 때 마음껏 해보며 사는 것은 얼마나 황홀한가. 허나 문제는 '따끔한 맛'이다. 마지막 문장에서는 내 눈 앞을 스쳐간 많은 아이들이 떠올랐다. 결국에 학교 생활을 접어야 했던 아이들도 있다. 따지고보면 그깟 학교 접었다고 인생이 끝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소설 말미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

"난 오직 네 모습 그대로의 널 필요로 했었다. 나를 대신하여 넌 방랑하였고, 안주하여 사는 자들에게 늘 자유에 대한 그리움을 조금씩 일깨워주어야만 했다. 나를 대신하여 너는 어리석은 일을 하였고 조롱받았다. 네 안에서 바로 내가 조롱을 받았고 또 네 안에서 내가 사랑을 받은 것이다. 그러므로 너는 나의 자녀요, 형제요, 나의 일부이다. 네가 어떤 것을 누리든, 어떤 일로 고통받든 내가 항상 너와 함께 했었다."

"네, 맞습니다. 사실은 저도 항상 그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이제 더 한탄할 게 없느냐?"

"없습니다."

"그럼 모든 게 좋으냐? 모든 것이 제대로 되었느냐?"

"네. 모든 것이 제대로 되었어요."

 

이 소설을 읽으면서 가만히 나의 앞날을 생각해본다. 살아온 세월보다 살아갈 세월이 분명 짧은데 이렇게 살아도 되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앞으로도 '제대로' 된 생활을 하려면 계속 일을 해야 하는가, 아니면 얼마 남지 않은 세월을 내 마음대로, 마음 내키는 대로 살아도 되지 않을까 싶은 고민이 생기는 것이다. 도대체 '제대로'된 삶이 무엇이고 무슨 소용인가. '이제 이 나이에'.

지금도 가끔씩 그리운 시절이 있다. 바로 대학 졸업 후 다년간의 백수 생활이다.

 

크눌프는 생각에 잠기지 않을 수 없었다. 젊은 시절 그가 느꼈던 기쁨이 마치 먼 산 위에서 타오르는 불길처럼 흐릿한 아름다움으로 빛을 발하고, 꿀과 포도주처럼 진하고 달콤한 향기를 풍겼다. 그러고는 이른 봄 밤의 따스한 바람과도 같이 나지막한 소리를 울리는 것이었다. 아, 정말이지 그때는 아름다웠다. 기쁨도 아름답고 슬픔도 아름다웠다. 어느 하루라도 빠뜨리기가 무척 아쉬울 만큼!

"그래요, 아름다웠습니다."

그는 인정했다. 하지만 피곤한 어린애처럼 심하게 울먹이며 항변하는 것이었다.

"그때는 아름다웠습니다. 물론 죄와 슬픔도 이미 거기 함께 있었지요. 그래도 좋은 시절이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아마 그 당시의 저만큼 좋은 술을 마시고 즐겁게 춤을 추고 멋진 사람의 밤을 지새웠던 사람은 많지 않을 겁니다. 하지만 그러고 나서, 그러고 나선 그 모든 게 끝나버려야 했습니다! 이미 그때부터 행복 속에 가시가 박혀 있었어요. 그러고는 더 이상 그토록 좋은 시절은 오지 않았죠. 안 왔어요, 한번도요."

 

위에 인용한 크눌프의 말을 완벽하게 이해하는 사람은 분명 백수시절이 있던 사람이리라. 내가 그러하므로. 비록 '행복 속에 가시가 박혀 있었지만.'

 

 

나이가 들어도 식지 않는 '자유'에 대한 갈망 때문에 지금도 수많은 사람들이 크눌프을 읽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크눌프를 읽게 되리라. 헤세여, 영원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