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알프스 산자락에 있는 '그랑 샤르트뇌즈 Grand Chartreuse' 수도원의 일상을 다큐멘터리로 찍은 것인데, 대사가 거의 없고 상영시간이 2시간 49분이나 되어 성공적 흥행은 애초에 기대 밖이엇지만 이상하게도 한국에서 꽤 맣은 관객을 모았던 영화였다. 필립 그뢰닝Philp Groning이라는 감독이 이 수도원에 촬영을 청원한 지 무려 15년 만에 허락을 얻어 6개월을 수도사들과 함께 기거하며 혼자서 찍었다고 했다. 영화의 내용은 지루하기 짝이 없다. 동트기 전 일어나서 기도를 시작으로 오로지 성경 읽기와 쓰기, 묵상, 기도, 세 번의 미사를 드리는 수도사들의 일과를 담백하게 담고 있을 뿐이다. 수도원은 폐쇄되어 외부와 단절되고, 내부도 대화는 금기되어 침묵만이 흐른다.

.....수도원을 의미하는 영어에는 '클로이스터 Cloister'와 '모나스터리Monastery'라는 두 단어가 있는데, 본래의 뜻은 다르다. '클로이스터'는 '갇혀 있다'라는 뜻의 'Claudere'를 어원으로 가지는 반면, '혼자됨'이라는 'Moochus'를 어원으로 삼는 '모나스터리'는 그런 '클로이스터'중에서도 스스로를 독방에 가두어 침묵과 은둔의 삶을 원하는 수도원을 뜻한다. 안에서는 밖으로 나오는 문을 열 수가 없으며 음식도 작은 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공급받는다.

  1084년에 브루노라는 수도사를 비롯한 여덟 명이 그르노블 인근 프랑스 알프스 산맥 속 험준하기 짝이 없는 샤르트뢰즈까지 기어이 찾아가 스스로를 유폐시키며 시작한 수도생활이 최초의 모나스터리이며, 그들이 시발하여 만든 그랑 샤르트뢰즈가 카투샨 카르투지오, 체르토사 혹은 차터하우스로 불리며 세계 곳곳에 퍼진 봉쇄수도원의 본산이다. 이 그랑 샤르트뢰즈 수도원은 영화 촬영으로 무려 천 년의 세월이 흘러서야 처음으로 그 내부를 공개한 것이다.

 

승효상의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에 소개된 영화 <위대한 침묵>을 보았다. 위 인용문에서 '이 수도원에 촬영을 청원한 지 무려 15년 만에 허락을 얻어'라고 되어 있는데 영화 자막에 의하면 15년이 아니라 16년으로 나온다.

 

 

 

 

 

 

 

 

 

 

 

 

 

 

 

오전 7시에 출근하면 창밖은 아직 어둑하고 서서히 날이 밝아오기 시작하는데 그때가 이 영화를 보기에 가장 좋은 시간이다. 그러나 이 시간은 오래 가지 못한다. 이내 아이들이 들어오고 수업에 들어가고 잡무 처리를 해야 한다. 어디까지나 직장이니까. 더군다나 TV화면이 아닌 컴퓨터 모니터나 작은 노트북으로 영화를 보다보니 단번에 보지 못하고 끊어서 여러 번에 걸쳐서 보게 되었다.

 

솔직히 말하면 좀 지루하긴 하다. 금욕적인 수도원 생활이야 조금만 생각해도 상상할 수 있는 거니까. 울림이 없는 것은 아니나 크게 감동 받았다거나 놀라웠던 건 아니다. 물론 '무려 천 년의 세월이 흘러서야 처음으로 그 내부를 공개한 것.'이니만큼 호기심이 앞선 것은 당연하다.

 

살다보면 어느 순간 기도가 저절로 나올 때가 있다. 막막하고 불안하고 절망적일 때. 어떻게든 안 될 때. 사방이 꽉 막혀있을 때. 무언가 절절해질 때. 이런 순간에는 말(언어)이 무의미하게 느껴진다. 침묵도 일종의 언어임을 깨닫게 된다. 절망이라는 막다른 골목 앞에 이르러서야 겨우 깨닫게되는 이 '침묵'을 스스로 선택하는 사람들은 도대체 어떤 사람들일까. 그 길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은 또 무엇일까. 스스로 선택한 침묵이라서 '위대한'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것일까.

 

한편으로는 이 영화에 나오는 수도사들처럼 말년을 보내도 되겠다는 생각도 든다. 깊은 산 속의 암자건, 히말라야 오지에 있는 곰파든, 알프스의 천 년된 수도원이건. 그렇게 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한번 살아보고 싶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