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원 1 - 요석 그리고 원효
김선우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깔끔하고 올곧으며 단정하다. 내가 느끼는 김선우의 글이 이렇다. 그중 나는 그의 '올곧음'을 좋아한다. 이 책에서도 나는 단연 그의 올곧은 모습을 보고 그 부드러우면서도 강직한 면모에 자주 마음이 머문다.

 

물론 독자로서 이 책의 단점 같은 게 눈에 들어오기도 하는데, 밥 먹다가 입가에 밥풀이 붙었는데 미처 알아차리지 못한 정도라고나 할까. 소설은 소설일 뿐이라 여기면서 그의 상상력을 따라가다 보면 때로 절로 감탄이 나오기도 한다.

 

 

"날이 밝기 직전 새벽이 가장 어두운 법이니라. 이 새벽을 나는 견디지 못하겠으나, 너는 반드시 견뎌 내겨라."(19쪽)

조국, 충, 용맹. 임전무퇴. 이 모든 관념은 한 줌 지배 귀족의 권력 욕망에 소모되는 가여운 희생을 낳을 뿐이다. 헛된 망상을 조장할 뿐이다. 어떤 것도 생명 앞에서는 모두 삿되다. 나는 있는 그대로 보겠다. 있는 그대로 고통의 실상과 대면하겠다. 신라는 보이지 않으나, 저 소년은 보인다. 신라의 맥박은 뛰지 않으나, 저 소년의 맥박은 뛰고 있다. 내게 조국이 있다면 그것은 인간이 경꼐 지어 놓은 삿된 국경보다 더 큰 조국이어야 할 것이다. 나는 새로운 조국을 찾아낼 것이다. 조국의 이름으로 살생하지 않아도 되는 조국을.(115)

"탁류 속에서 승자가 된들, 탁류를 맑게 만들 수 없습니다. 어찌해야 탁류를 다시금 본래의 감로수로 되돌릴 수 있을지, 소승이 궁구하는 바는 그것입니다."(157)

"길을 잃어버리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했습니다. 길을 잃었을 때 어떻게 길을 찾는지도요."(336)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은 부처를 사랑하는 길이 아니라 부처가 필요한 사람들을 사랑하는 길이라는 생각이 먹장구름을 쪼개는 뇌우처럼 들이닥쳤다. 부처를 사랑하는 것과 부처가 필요한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불일불이로 현현하고 종내는 서로 통하여 어우러질 것이라는 생각 역시 순식간에 지나갔다. 부처가 돼야 한다는 일념이 집착에 기인한 허욕임을 인정하자 마음의 안팎을 연결하는 굴 같은 것이 삽시간에 뻥 뚫리는 듯했다. 순수한 공기의 파동이 쏴아 밀려들면서 가슴속이 시원해지고 너털웃음이 터졌다.(3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