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들렌' 하면 떠오르는 책이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이다. 명성만으로도 읽은 것 같은 기분이 드는 책이지만 아직 읽을 엄두를 못내고 있다. 그렇다고 앞으로 읽을 것 같지도 않다.

 

이름으로 익히 들었던, 간혹 제과점에서 사먹기도 했던 그 '마들렌'을 드디어 만들 기회가 왔다. 오븐이 없다는 핑계로 한번도 직접 만들어볼 생각을 못했는데 때마침 이쪽 분야의 연수를 3일 간 받게 되었다. 그래봐야 수박 겉핥기에도 못미치는 수준이지만 안 해본 짓을 해본다는 건 어쨌건 흥분되는 일이다.

 

레시피대로 만드니 대충 모양과 맛이 나와서 감격스러웠지만.....재료를 들여다보면 감격은 당혹감으로 바뀌고 당혹감은 분노로 바뀐다.

 

 재료명  비율(%) 질량(g) 
 박력분  100  544 
 설탕  100  544
 계란   100       544(11개)     
 버터  100 544 
 베이킹파우더  2 11 
 레몬쥬스  1   5
 소금 0.5   3
 코팅용 초콜릿    250

 

당혹감을 일으키는 저 '100'이라는 숫자. 박력분, 설탕, 계란, 버터의 양이 똑같다. 계란은 그렇다치고 결국 이 마들렌이라는 쿠키는 밀가루, 설탕, 버터로 이루어진 열량 덩어리라는 얘기다. 몰랐으면 모를까 알고는 도저히 마음놓고 먹을 수 있는 게 아니다. 그런데도 손이 자꾸 간다. 일단 맛있으니까.

 

식구들에게 먹으라고 풀어놓긴 했지만 고깃국에 후추치듯 한마디 던진다. "몸에 해로운 거야."

 

나쁜 음식은 나눠 먹어야 빨리 없어지는데 누구랑 먹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5-08-10 0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램수를 보니 집에서 한 가족 정도 먹을 분량은 아닌 것 같아요. 대용량!
워낙 달달, 느끼, 고칼로리이기 때문에 이런 쿠키류는 우리 나라 스낵 먹듯이 하지 않고 한두개 맛 보는 정도로만 먹는거라는데 그게 참...^^
이런 연수도 받으셨군요. 재미있으셨겠어요. 집에 오븐은 있지만 마들렌 전용 틀이 없다는 이유로 저도 아직 한번도 안만들어봤어요.

nama 2015-08-11 08:49   좋아요 0 | URL
다쿠와즈도 만들었는데, 비록 재료는 험하지만(?) 맛은 기가 막히네요. 이런 맛이라면 얼마든지 살을 쪄주마, 하고 먹을 정도예요.^^
요즘엔 연수가 무척 다양해요. 커피 연수, 스킨스쿠버 연수, 스포츠댄스 연수, 오카리나 연수, 도자기 연수....오늘부터 한국이민사 연수를 받기 시작했답니다. 얼마나 졸리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