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은 계란을 생협에서 구입한다. 15개가 들어있는 유정란을 주로 사 먹는다. 장바구니에 담기도 적당하고 신선하고 맛도 좋다.

 

그런데 차일피일 미루다가 생협에 가야할 타이밍을 놓쳤더니 가뜩이나 텅 빈 냉장고에 계란이 달랑 두 개 남았다. 마침 코스트코에 가게 되어 계란을 사왔는데...

 

30개가 들어있는 한판을 주저주저하다가 사왔다. 달리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30개 아니면 60개. 거기까지는 좋았다.

 

그날 저녁, 말 그대로 휘휘휙 저어서 스크램블을 만드는데 깨는 족족 노른자가 두 개인 쌍알이다. 다음 날. 계란을 삶았더니 모두 노른자가 두 개 있는 쌍알이다. 다음 날 아침, 계란말이를 하는데 역시 쌍알의 연속이다.

 

딸아이는 징그럽다고 삶은 계란을 거부하더니(위의 사진) 그 좋아하는 계란말이(청양고추 듬뿍 들어간)를 한 점 먹다가 만다. 맛이, 그러니까 계란맛이 없다. 노른자의 고소함도 없고 흰자위의 찰진 맛도 없다. 생협 계란을 먹을 때는 몰랐는데 코스트코 계란을 먹어보니 그 차이를 알게 된다. 한마디로 코스트코 계란은 계란이라는 생물을 먹는 게 아니라 상품을 먹는 것에 불과하다.

 

그나저나 남은 계란을 어떻게 처치하나, 문제다. 그런데 어떻게 계란 한 판 30개 전부를 쌍알로 구성할 수 있을까? 겉포장에 한마디라도 써놓아야 되는 거 아닌가?

 

'이 계란은 모두 쌍알로 구성되어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어렸을 적 아버지가 병휴직으로 1년을 쉬시면서 잠시 양계사업을 하신 적이 있었다. 200여 마리의 닭을 길렀는데 닭들이 알을 낳으면 동네가게에다 계란을 조금씩 팔았다. 장바구니에 넣어서 심부름을 다니곤 했는데 어쩌다가 돌부리에 넘어지면 계란이 땅에 떨어져 깨지곤 했다. 땅바닥에 깨진 계란에서 노랗게 도드라진 통통한 노른자가 눈에 들어오면 마음이 아파지면서 눈에는 금새 눈물이 그렁그렁 맺히곤 했었다. 특히 쌍알일 경우에는 가슴이 저려올 정도로 아파왔다. 60년 말에서 70년대 초쯤 되었을 때였다.

 

 

버릴 수도 없는 쌍알 30개. 코스트코, 너무 한 거 아닌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