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의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 발표>라는 보도자료에 따르면 다음 13개의 단어가 이제부터 어엿한 자격을 획득하게 되었다. 먼저 떠오른 것은 이런 단어들을 사용해서 생활기록부를 작성할 수 있겠구나, 하는 반가움이었다. 개기는 녀석들, 딴지 걸기 좋아하고, 꼬시는 재주가 있는 녀석들, 허접한 과제를 해오는 녀석들...있는 그대로 적어주마!

 

먼저 2011년에 추가된 39개부터 정리한다, 그간 잘 몰라서 나도 적잖이 개긴 기억이 있어서...

 

1. 두 가지 표기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한 것 3개(괄호 안은 현재 표준어)

▲택견(택껸)▲품새(품세)▲짜장면(자장면)

 

2. 새로 추가된 표준어 11개(괄호 안은 현재 표준어)

▲간지럽히다(간질이다) ▲남사스럽다(남우세스럽다) ▲등물(목물)
▲맨날(만날) ▲묫자리(묏자리) ▲복숭아뼈(복사뼈) ▲세간살이(세간)
▲쌉사름하다(쌉싸래하다) ▲토란대(고운대) ▲허접쓰레기(허섭쓰레기)
▲흙담(토담)

 

3. 현재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추가로 인정한 것25개(괄호 안은 현재 표준어)

▲~길래(~기에) ▲개발새발(괴발개발) ▲나래(날개)▲내음(냄새)▲눈꼬리(눈초리) ▲떨구다(떨어뜨리다)▲뜨락(뜰)▲먹거리(먹을거리)▲메꾸다(메우다)▲손주(손자(孫子)▲어리숙하다(어수룩하다)▲연신(연방)▲휭하니(힁허케)▲걸리적거리다(거치적거리다)▲끄적거리다(끼적거리다)▲두리뭉실하다(두루뭉술하다)▲맨숭맨숭/맹숭맹숭(맨송맨송)▲바둥바둥(바동바동)▲새초롬하다(새치름하다)▲아웅다웅(아옹다옹)▲야멸차다(야멸치다)▲오손도손(오순도순)▲찌뿌둥하다(찌뿌듯하다)▲추근거리다(치근거리다

 

 

다음은 2014년에 추가된 단어

1.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을 가진 표준어로 인정한 것(5개)

추가된 표준어

현재 표준어

구안와사

구안괘사

굽신*

굽실

눈두덩이

눈두덩

삐지다

삐치다

초장초

작장초

 

*초장초가 뭔가 싶어 찾아보니 괭이밥을 가리키는 말이다. 어렸을 때는 '셤'이라고 불렀다.

 

2.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차이가 나는 별도의 표준어로 인정한 것(8개)

추가 표준어

현재 표준어

뜻 차이

개기다

개개다

개기다: (속되게)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

(※개개다: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

꼬시다

꾀다

꼬시다: ‘꾀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

(※꾀다: 그럴듯한 말이나 행동으로 남을 속이거나 부추겨서 자기 생각대로 끌다.)

놀잇감

장난감

놀잇감: 놀이 또는 아동 교육 현장 따위에서 활용되는 물건이나 재료.

(※장난감: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여러 가지 물건.)

딴지

딴죽

딴지: ((주로 ‘걸다, 놓다’와 함께 쓰여)) 일이 순순히 진행되지 못하도록 훼방을 놓거나 어기대는 것.

(※딴죽: 이미 동의하거나 약속한 일에 대하여 딴전을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그라들다

사그라지다

사그라들다: 삭아서 없어져 가다.

(※사그라지다: 삭아서 없어지다.)

섬찟*

섬뜩

섬찟: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 갑자가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속앓이

속병

속앓이: 「1」속이 아픈 병. 또는 속에 병이 생겨 아파하는 일. 「2」겉으로 드러내지 못하고 속으로 걱정하거나 괴로워하는 일.

(※속병: 「1」몸속의 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위장병01’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3」화가 나거나 속이 상하여 생긴 마음의 심한 아픔.

허접하다

허접스럽다

허접하다: 허름하고 잡스럽다.

(※허접스럽다: 허름하고 잡스러운 느낌이 있다.)


댓글(3) 먼댓글(1)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국립국어원의 2014년 표준어 추가 발표 - 뭘 더 바래?
    from 마음―몸―시공간 Mind―Body―Spacetime 2014-12-22 12:05 
    저는 개인적으로 “이건 인정해주길 바래요”“뭘 더 바래?” “바랠 걸 바래야지”“내 진심만은 알아주길 바랬어” “설렘과 바램으로 부풀었었는데”와 같은 경우에 쓰이는 기본형 “바라다”의 비표준 활용형도 표준어로 인정해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이건 인정해주길 바라요” “뭘 더 바라?” “바랄 걸 바라야지”“그가 내 진심만은 알아주길 바랐어”와 같은 표준 활용형은 오히려 이상한 느낌이 듭니다. 실생활 대화에서 저렇게 쓰이는 경우는 꽤 드물다고 할 수 있죠.
 
 
서니데이 2014-12-20 14: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뉴스를 통해 알게 된 건데, 다른 것보다 초장초를 모르겠더라구요, 표준어도 모르는 말이어서 그런 것같아요,

nama 2014-12-20 14:59   좋아요 0 | URL
저도 의아했어요. 초장초가 굉장히 낯설어서요. ㅎ 저만 그런 게 아니었군요^^

서니데이 2014-12-20 15:00   좋아요 0 | URL
nama님도 그러셨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