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는 꼼꼼하게 읽게 되는 책과 대충 읽게 되는 책이 있다. 한 줄로 요약하면 되는 말을 엇비슷한 표현과 반복되는 말로 길게 늘려 설명하는 대학교수들의 강의를 듣는 일은 지루하고 곤욕스러울 따름인데, 이 책이 그렇다. 말이 너무 많아서 대충 넘겼는데 다음 표가 눈에 들어왔다.

 

 자국에 있는 것  해외여행을 하는 것
 일이다  놀이이다
 강제적이다  자발적이다
 엄정하다  너그럽다
 형식적이다  비형식적이다
 주의를 기울인다  긴장을 푼다
 꼭 해야 할 일이 있다  꼭 해야 할 일이 없다
 정확하게 시간을 엄수해야 한다  시간 엄수가 엄격하지 않아도 된다
 타인 본위다  자기 본위다
 당연시한다  당연시하지 않는다
 위험을 회피한다  위험을 감수한다
 같은 상태에 머물 수 있다  삶을 바꿔 놓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지루하다  흥미진진하다
 세속적인 것과 비슷하다  성스러운 것과 비슷하다

 

넬슨 그래번(Nelso Graburn)이라는 인류학자의 생각이라고 하는데 새삼 새로운 것은 없다. 나도 이렇게 생각해왔으니까.

 

그러나 이어지는 다음 글을 읽어보면,

 

(p.132)...관광에 대한 많은 연구가 관광이 문턱성을 가졌다는 걸 보여 주었다. 우선 관광을 할 때는 서로 성이 아닌 이름을 부르는 것이 입증하듯이 격식을 차리지 않는 경우가 늘어난다. 또 술을 과하게 마신다. 더 솔직한 사회적 행동을 하며, 때로는 고국에서 하는 "정상적인" 행동과 정반대로 굴기도 한다. 그렇게 해서 사람들은 이런 일시 휴지상태에서 스트레스를 주는 삶의 모순에서 벗어나며, 그런 면에서 이런 상태는 사회의 현상 유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사람들이 활력을 되찾고 돌아와서 자신을 소외시키는 따분한 업무로 복귀할 준비가 되기 때문이다. 현 상황에 도전하거나 변화를 가져오려는 대신에 말이다.

 

따끔한 말이다. 여행이 결국은 사회의 현상 유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는 말이. 현상 유지 강화에 기여하는 또 다른 것이 있다면, 이런 것도 포함하지 않을까. 이를테면 각종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먹거리 프로그램. 오로지 내 몸에 신경을 쏟다보면 각종 사회 현상은 부차적인 문제로 밀려날 터이니까.

 

이 책에 푹 빠지기에 나는 이미 영악한 여행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