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 깁스한 발을 질질 끌며, 걸어서 3분이면 갈 거리를 10여 분만에 겨우 걸어서-목발도 없이- 택시를 탔다. 드레싱이라고 하는 소독처치를 받으러 병원에 가기 위해서였다.

 

야박한 인상의 택시기사는 처음부터 투덜거리기 시작했다. 백화점 등이 밀집한 시내 중심까지는 택시 요금이 8,000~9,000원이 나오기 때문에 우리 동네에는 늘 서너 대의 택시들이 대기하고 있는데, 그렇게 기다려 태운 손님이 기껏 기본요금 손님이었으니 택시기사의 그 실망감에 좀 미안한 기분이 들기도 했다.

 

그런데 내가 가야할 병원이 좌회전 신호를 받고 다시 유턴을 해야되는 위치에 있었다. 곧바로 택시기사의 두번째 불만이 터져 나왔다. 반대편에서 택시를 타고 그냥 우회전에서 오면 간단한 건데 왜 그렇게 하지 않았냐는 것이다. '이 눔, 참, 깁스한 내 다리 안 보여?'  내가 좀 더 머리가 하얗다면 이렇게 쏘아주는 건데, 교양 있는 나는 그저 "다리가 불편해서 그렇잖아요."라고 점잖게 대꾸했다. 속으로는 한 대 쥐어박고 싶었지만, 그 놈의 교양 때문에...

 

요금이 3,200원 나왔다. 카드를 꺼냈더니 택시기사 왈, "카드 사용할 거면 처음부터 카드 쓴다고 말해야지요?" 뭣이? 물건 고를 때 카드 사용한다고 먼저 허락 받고 물건 사디? 이런 우라질 놈 같으니라고, 물론 속으로 조용히 분을 삭였다. 말이 통할 인간이 아니라는 생각도 들었고, 어쨌거나 병원에 오는데 이 사람의 도움을 받은 거니까.

 

이런 부류의 아이들을 그간 참으로 많이 봐왔다. 남에 대한 배려라고는 코딱지 만큼도 없는 각박한 성품의 아이들을 말이다. 허나 그 아이들의 성장 배경을 들여다보면 어딘가에 그 원인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되는데, 그러면 그 아이에 대해 조금씩 이해와 연민이 생기기 시작한다.

 

이내 이 택시기사의 삶의 모습이 짐작되면서 순간적으로 끓어올랐던 분노를 삭이기 시작했다. 내 발이 안녕하지 못한 것처럼 이 택시기사의 삶도 안녕하지 못한 것이겠지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