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인의 반란자들]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나 같은 사람은 노벨문학상에 대해 얘기할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며 이 글을 쓴다. 왜? 그간의 노벨문학상 수상작들을 읽어본 적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 많은 수상작들을 그렇게 간단하게 무시하고 무사하게(?) 살아왔으니 좀 한심한 생각도 든다.

 

언제부턴가 번역본을 읽는 것에 흥미를 잃기 시작했는데 아마도 그때쯤이지 않을까 싶다. 지적능력 부족으로 작품을 이해하는데 문제가 있었는 지도 모르겠다. 하여튼 노벨문학상 수상작들을 멀리해왔다는 것만은 부끄럽지만 사실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게 되었을 때, 까마득하게 높아만 보여 감히 가까이하지 못했던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들의 모습과 육성을 접할 수 있다는 기쁨에 들뜨기도 했다.

 

허나 이 책을 읽어나가면서 내 독서의 바닥이 금방 드러나버리고 말았다. 도대체 이 위대한 작가들의 작품을 읽지도 않은 상태에서 이 책을 읽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책은 단숨에 잘 읽었지만 착잡한 마음은 영 가시지가 않아서 이 리뷰 쓰는 일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다.

 

분명 이 책을 통해 심오한 감흥 같은 것도 있었다. 대부분의 작가들의 연륜에서 우러나는 삶의 깊이와 범접할 수 없는 어떤 경외감도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었다. 이분들에게서 공통적으로 감지되는 삶에 대한 나름의 주제의식 내지는 고집 같은 게 우선 인상적으로 다가왔다. 인생의 하루, 혹은 한시간도 허투루 살았을 것 같지 않은 삶의 농밀함이 진하게 가슴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특히 작가들의 손을 찍은 사진들이 많은 것을 이야기하는 듯했다. 클로즈업된 손사진이 특히 더 그랬다. 쭈글쭈글한 손사진을 감상하는 맛이 참 각별했다고나 할까. 글이라는 건 머리가 아니라 손으로 쓰는 것이라고 말하는 듯도 했다.

 

그러나 무척 아쉽기도 했다. 16명의 작가들 얘기를 쓰다보니 글이 짧고 단편적이라는 점이다. 그들과의 인터뷰가 짧게는 6시간, 길게는 8일이 걸렸다고 하는데 꼭 필요한 부분만 편집하다보니 그럴 수 밖에 없었겠지만 읽다만듯한 기분이 들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들 작가들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는 되었다. 하나같이 삶과 정면으로 맞선 분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장애인 아들을 훌륭한 음악가로 키운 오에 겐자부로, 나치 전력으로 세간을 놀라게 했던 귄터 글라스,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삶에 충실했던 나기부 마푸즈, 아파르트헤이트와의 투쟁에 앞장선 나딘 고디머, 아프리카의 꿈을 말하는 월레 소잉카...내 비록 그들의 작품을 읽지 않았지만 여기에 실린 글과 사진만으로도 그분들의 글쓰기 행위와 인생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다.

 

특히 "광활하고 폭넓은 사회는 개인이건 집단이건 변화의 가능성이 많아요. 반면에 비좁고 한정된 사회는 어떤 것을 변화시킨다는 게 무척이나 어려워요. 정체성이란 넓으면 넓을수록 좋아요."라는 V.S 네이폴의 말과, '나는 절대 다른 존재의 아버지가 되지 않을 것이다'라는 임레 케르테스의 말이 오랫동안 여운으로 남았다.

 

그래서 다짐해본다. 그들의 작품을 꼭 읽어야겠다고. 이름만 알고 있는 건 무의미하고 부끄러운 일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