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 빠져 미국을 누비다 - 레드우드 숲에서 그랜드 캐니언까지, 대자연과 함께하는 종횡무진 미국 기행
차윤정 글.사진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단순한 미국 여행기라면 읽지 않았을 책이다.  숲 생태 전문가의 여행기는 어떤 식으로 쓰여졌을까, 가 궁금했다. 나무 이야기라면 더 좋겠다는 기대감도 있었다. 

그런데 제목이 너무 거창하다. 고작 열흘 간의 여행으로 책 한 권을 쓴 것도 그렇다. 그런 자신감이 궁금하기도 했다. '학문적인 여행기'는 아닐까 의심도 갔다. 마침 4대강을 둘러싼 저자의 행보에 내심 불쾌감도 있던 터라 저자의 좌우를 살피고도 싶었다. 

오로지 출세라는 한 자리를 목표로 일로매진하는 무리들을 늘 보아온 터라 그리 이상할 것도 그리 섭섭할 일도 아니건만, 그래도 나무를 얘기하고 생태를 부르짖는 사람이라서 다를 줄 알았다. 위안삼아 차라리 더 두고 봐야 한다,라는 말을 남겨두는 게 좋을 성싶다. 슬퍼지니까. 

가족 여행 답게 남편과의 갈등 같은 것도 숨기지 않고 잘 드러냈다. 사실 쉬운 일이 아닐텐데. 더구나 책으로 나오는 건데. 꾸밈이 없는 저자의 진솔함이 읽혀지기도 했다. 

나무나 숲에 관한 것은 대강 흥미는 가지만 글쎄 내 분야가 아니고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부분이 아니라서 그런지 사실은 그저 그렇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민들레나 쑥 같은 존재에 귀를 기울이는 것만도 못하다. 엇그제만해도 민들레를 캐느라고 꼬박 주말 오전을 이틀씩이나 바친 터라 아무래도 먼 이국 땅의 나무 얘기만으로는 성이 차지 않는다고나 할까.

글쎄 그래서 이 책을 읽는 동안 계속 이런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도대체 내가 왜 이 책을 읽고 있나? 미국은 질색하면서 말이다. 미국에 거부감을 느끼면서도 살금살금 들여다보는 이 심리는 또 뭔가 하고. 

그럴 즈음 반가운 구절이 눈에 들어왔다. 

(154) 한편 우리에게 미국이 로망인 것처럼 많은 제3세계 국가들에겐 한국이 로망의 대상이다. 서아시아나  남미에 부는 한국 자동차 열풍은 미국에서의 일본 차 열풍과 같다. 우리 아이들에게 미국에 대한 도전을 권고하는 만큼 이런 나라들에 도전하라고 가르치는 것은 어떨까. 미국, 유럽, 일본 같은 나라에서 한계에 찬 도전을 하는 것보다 우리의 경쟁력을 필요로 하는 제3세계로 눈을 돌리라고 말이다. 이번 여행에서 확인한 거지만, 아이들의 삶의 수준은 이미 그 정도에 도달해 있다.  샌프란시스코나 로스엔젤레스에서 우리는 남들이 흔히 하는 도시 탐색을 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미 서울도 그와 비슷한 양상으로 발전해 있으니까. 

그러나 마지막 세 문장이 거슬린다. 과연 그럴까. 저자의 4대강을 둘러싼 태도 변화가 잠깐 떠오른다. 사람은 자신이 처한 계급에서 절대 자유로워질 수 없나보다. 

책 한 권을 읽기가 왜 이리 골치 아픈가. 저자가 인용한 부분을 그저 다시 인용할 뿐이다. 

   
 

 "그저 우리가 할 일은 위대한 자연을 그대로 두고 보는 것입니다. 세월은 지속적으로 그들의 위대한 작업을 진행하지만, 사람은 파괴할 뿐입니다.(I want to ask you to do one thing ....keep this great wonder of nature as it is.....The ages have been at work on it and man can only mar it." 1903년에 루스벨트 대통령이 한 말이다. 하지만 그냥 두고 보는 일도 우리는 제대로 하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