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예비고사 세대다. 커트라인이라는 게 있어서 지역별 합격, 불합격 점수가 분명했었다. 보통 340점 만점에 200점은 넘어야 서울에 있는 대학에 들어갈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데 이를 가르는 기준이 바로 커트라인이라 부르는 점수였다. 당연 지방의 커트라인은 200점이 채 되지 않았다. 그리고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에서 실시하는 본고사를 치르고서야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다.
내가 예비고사를 치르고나서 2년 후, 학력고사라고 불리우는 시험이 예비고사를 대체했다. 그리고 한참 후에 수능이 생겨났다. 대학입시와는 관계없는 시절을 보낼 때라서 정확하게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른다. 굳이 궁금하지도 않다.
그리고 교직에 들어온 이후 몇 번인가 대학입학관련 시험에 감독으로 차출되었다. 2010년 수능감독으로, 그러니까 어제도 그 몇 번째의 시험감독으로 차출되었는데 모처럼이어서 그런지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고 머리가 무거워졌다. (감히)수험생 못지않은 긴장감을 풀 수 없는 사람이 바로 시험 감독관이라고 말할 수있다. 감독을 해보면 이 말에 수긍이 갈 것이다. 감독 잘 못하면 일년치 재수 비용까지 물 수도 있다는 사전 교육까지 받고나면 이건 스릴만점의 초특급 영화 한 편 보는 것 이상이라고나 할까. 흠,온몸으로 보는 영화가 있다면 모를까....과장이 좀 심했다.
하여튼 초긴장 무료함(이 말 뜻을 아실런지)의 감독을 모두 마치고나니 이미 날은 어두워지기 시작하고 있었고, 학교 교문밖 도로엔 학부모의 차량들로 빈 틈이 없었고, 학부모들이 초조하게 서성이며 자녀들이 나오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수능시험은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이며 세계다. 그것도 교묘하게 진화하는 세계다. 예비고사에서 학력고사로, 다시 수능으로 진화하면서 확실하게 권력을 틀어쥐고 있는 세계다. 인간이 만든 제도에 옴짝달싹 못하고 매어있는 꼴이다. 생각해보면 굉장히 한심한 세계임에 틀림없는데 감히 이 세계를 이탈할 꿈을 꾸지 못한다.
영어를 예로 들어보자. 예비고사 시절의 영어 문제와 지금의 영어 문제는 비교조차 되지 않는다. 원시성에 가까운 예비고사를 치렀던 세대에겐 지금의 문제 수준이 가늠이 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시험을 치르기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체계적인 학습과 훈련이 되어있어야 한다. 고도로 진화되고 발달된 학습 덕택에 시험 수준이 상당히 높은 단계에 진입했다. 이게 과연 바람직한 일인가?
몇 년에 한번씩 수능 감독을 하게 되면 그때마다 깜짝깜짝 놀라며 수준이 한없이 높아진 문제에 잠시 넋이 빠져버린다. 이래도 되는가?하고. 시험이라는 이 비본질적이고 물질적이고 몰인간적인 거대한 권력 앞에 그저 눈치나 보며 하나라도 더 정답을 맞추기위해 온갖 굴레와 비굴함을 언제까지나 참고 견뎌내야하는 것인지, 생각해보면 눈앞이 캄캄해지는 것이다. 그것도 자자손손 대대로. 언제까지나.
참으로 재미없는 세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