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살라 인디아]의 서평을 보내주세요.
-
-
맛살라 인디아 - 현직 외교관의 생생한 인도 보고서
김승호 지음 / 모시는사람들 / 2008년 11월
평점 :
일본의 저술가 다치바나 다카시는 책 한 권을 쓰기 위해 백 권을 읽는다고 한다. 누군가는 말하기를,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그 분야에 관한 책을 1,000권정도 읽는다고 한다. 그러나 백 권을 읽지 않아도 전문가가 아니어도 한번쯤 욕심내서 쓰고 싶은 분야가 있다면 그건 인도에 관한 책일 것이다. 단 며칠 동안이라도 인도라는 땅을 밟아본 사람들은 알 것이다. 인도가 얼마나 많은 이야기 거리를 남기는 지를. 그래서 인도에 관한 책은 무지 많다. 끝이 없는 이야기처럼 인도에 관한 책은 끊임없이 세상에 쏟아져나오고 있다.
인도 관련 서적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보면, 하나는 새로 배우거나 경험하여 알게 된 것을 방금 쓴 아마추어의 따끈따끈한 책과, 또 하나는 이미 충분히 배워서 알고 있는 것을 풀어서 차분하게 쓴 전문가의 숙성된 책으로 구분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무척 거친 분류법이긴 하지만.
이 책은 그중에 따끈따끈한 책에 속할 것이다. 인도 주재 한국대사관에 근무하는 저자의 2년 간의 인도 경험에서 나온 책으로 인도의 경제에 관한 것을 위주로 기타 인도의 문화, 종교, 우리나라와의 관계 등을 다루고 있다. 특히 인도에서 선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기업들의 활약상이나, 인도에서 사업에 관심을 둔 사람들을 위한 인도에서의 부동산 매입 절차 같은 부분이나, 올림픽 유치에 관한 일화등은 매우 생생하게 서술되어 있는데 저자의 하는 일과 관련이 많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의 직함이 문화홍보관이라던가, 그래서인지 홍보용 기사같은 부분이 종종 나오는데 반감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지만 군더더기 같아 재미있는 건 아니다.
그 외에 인도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가지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뭐랄까, 새로 알게 된 사실들을 누군가에 털어놓고 싶은 충동 같은 게 부분 부분 읽혀진다. 그러나 대체로 이 책은 재미있는 일화 소개와 지루하지 않고 간략하면서도 중요한 부분은 꼭 짚어주기도해서 처음 읽는 사람에게는 인도입문서 역할을 하리라고 본다. 특히 기존의 여러 여행기와는 달리 적재적소에 소개된 각종 통계 숫자와 분석은 인도를 이해하는데 적절한 도움이 될 것 같다.
사족을 붙이자면, 탈자나 오자가 여러 군데 눈에 거슬린다. 인도의 인구가 11억과 12억 사이를 오가며 바라나시가 바라나 시로 씌여진 부분도 있다. 이런 자그마한 실수가 이 책의 내용을 더 거칠게 만드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인도를 개괄적으로 소개한 점과 인도의 경제 관련 각종 객관적 수치가 참고할 만하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 <인도는 무엇으로 사는가>(by 이광수),<내가 알고싶은 인도>(by 백좌흠), 이옥순,이거룡,임헌갑,임현담,강석경,류경희,법정스님 등의 인도 관련 도서 (http://blog.aladin.co.kr/nama/1638093)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인도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나 인도 관련 직업을 갖고자 하는 사람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p.97)한국은 보통 대학에서부터 주관식으로 답안을 작성하지만 인도는 초등학교 과정부터 영어로 작문 시험을 본다. 대학에서도 한국 학생들이 보통 3장내지 5장 정도로 답안을 작성하는 것에 비해, 인도 학생들은 기본이 수십장이고 이를 대부분 영어로 작성한다.이는 우리나라의 주입식 객관식 위주의 교육과 확연히 대비되는 것이다.(평소 영어 교육에 관심이 있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