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343

 영미야, 창근아, 그 시절엔 의리를 매우 중요시하고, 선배를 잘 따랐주. 반일 투쟁했던 선배들의 정신을 본받으려고 했어. 그분들이 대부분 좌익이었고, 그래서 후배들은 유식하면 유식한 대로, 무식하면 무식한 대로 좌익이 된 거라. 그땐 다 그랬주.


1945년 해방 때의 시대상황이다. 이 어렵지도 않은 상식적인 사실을 비틀고 억지를 부리는 무리를 보고 있노라면 화가 나서 가슴이 답답하고 우울해진다. 참으로 뻔뻔한 무리들.



2. 














수채화 같은 글을 읽노라면 가만히 감상에 젖곤하는데...하, 결정적인 단점이 자꾸 눈에 뜨인다.


p. 243

 두 여승은 앳된 소녀였다. 통통하게 살이 오른 볼그레한 볼, 도톰한 붉은 입술, 크고 선연한 흰자위와 까만 눈동자, 가늘고 긴 목덜미의 뽀얀 살빛, 처녀성이 눈부신 아름다운 용모였다. 배코 친 파란 머리와 헐렁한 잿빛 승복이 속인의 마음을 공연히 안타깝게 하는데, 정작 두 여승은 여느 소녀들과 조금도 다를 바 없이 밝게 웃고 새처럼 맑은 목소리로 지저귀고 있었다.


  여승을 그저 여승으로만 볼 것이지, 외모를 하나하나 따지며 대상화하는 건 뭔가. 불편하다.


 p. 163

복지경의 소나기 한 줄기는 농부의 한계체온 이상의 무모한 인내에 대해서 여름날이 줄항복은 하는 것이다. 삼굿 같던 날씨가 제풀에 겁을 먹고 '독한 놈, 이러다 사람 잡지. 내가 졌다' 하듯 난데없는 시원한 바람 한 점을 백기처럼 흔들며 들판을 훑고 가버린다. 돌연한 날씨의 변덕에 농부들은 본능적으로 밭고랑에서 놀라 장끼 고개 쳐들 듯이 벌떡 일어나 건넌골 쪽을 쳐다본다. 아니나 다를까 컴컴한 골 안에서부터 막잠 자고 난 누에 뽕잎 먹는 소리처럼 버석거리며 뽀얗게 묻어 드는 소나기가 미처 피해 볼 새도 없이 순식간에 들판을 유린해 버린다. 유린! 그 얼마나 협쾌한 유린인가. 수절과부가 외딴 골짜기에서 범강장달이 같은 사내에게 겁탈을 당한들 그만큼 협쾌할까.


협쾌란 통쾌하다는 말일 터. 이런 식으로 여성을 비하하고 대상화 하는 표현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지금 시각으로보면 매우 시대착오적이지만 1938년생인 지은이가 살았던 세계에선 이런 시각이 보편적이었을 것이다. 나는 그런 세계에서 살았던 부모 밑에서 자랐다. 그러니 눈살은 찌푸려지지만 참고 읽는 수밖에. 



위의 두 책을 같은 주제로 열거하는 게 좀 무리인 듯하지만... 사람은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 그러나 패러다임을 왜곡하고 시대를 되돌리려는 자들에게는 당당하게 맞설 것.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23-09-09 16: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대마다 동작하는 무의식적인 인식의 틀이 있긴 하지만 수채화 같은 글에 큰 오점을 남길 구절들이 꽤 있네요.
‘그리운 시절‘중에는 ‘겁탈은 미수에 그치고 말았지만 주호의 모험심이 얼마나 순진하고 아름다운 것인지...‘ 라는 뜨악한 구절도 나옵니다.

nama 2023-09-09 17:13   좋아요 0 | URL
그 시절에는 통용되었겠지만 지금 보면 핀셋으로 뽑아버리고 싶은 문장들이 꽤 있어요.
이런 책이 후세에도 남아 있다면 고전이 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