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매일 보는 나물을, 오늘 맘 먹고 사진에 담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575.jpg)
두고두고 쑥개떡을 해먹기 위해서 거의 매일 일정량 쑥을 뜯고 있다. 쑥 채취는 봄 한철에 하지만, 잘 하면 가을에도 가능하긴 하다. 가장 흔한 풀 같지만 막상 채취하려고 보면 쉽지 않다. 아무데서나 자란다고 해서 아무거나 뜯을 수는 없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579.jpg)
머위. 심지도 않았는데 땅 한 구석에서 잘 자라준다. 덕분에 봄엔 나물로, 가을엔 머위대를 즐길 수 있다. 막 올라온 머위순을 된장에 무쳐 먹으면 사라진 입맛이 돌아온다. 뿌리는 약으로 쓴다는데 뿌리는 못 뽑겠다. 약은 그냥 약국에서 해결하는 게 낫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582.jpg)
뭐니뭐니해도 봄나물의 여왕는 엄나무순이 아닐까. 엄나무순은 일년 내내 먹어도 질리지 않으리라.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585.jpg)
봄엔 두릅이 최고인줄 알았는데 엄나무순을 먹어보곤 두릅에 대한 애정이 식어버렸다. 미안해.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586.jpg)
울릉도 출신이라고 한다. 맛은 가죽나물의 식감에서 특유의 향을 제거한 맛? 부침개도 해먹었는데 그냥 들기름 넣고 무치는 게 맛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589.jpg)
장아찌로 유명한 명이나물, 쌈으로 먹으면 마늘 냄새가 난다.
삼잎국화. 쌈 채소로 적격인데 나물로도 먹는다고 한다. 국화라는 이름에 걸맞게 가을엔 노란 꽃이 핀다. 작년 가을에 우리 아파트 화단에서 이 꽃을 보았다. 아는만큼 보인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600.jpg)
당귀. 고기 먹을 때 상추 대신 쌈으로 먹으면 좋다. 포만감도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607.jpg)
다래순. 나물로 먹으면 뭔가 고급 나물을 먹는 기분이 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625.jpg)
돌나물. 다른 나물에 밀려 온몸을 온전히 보존한다. 인기가 없어서 행복한 나물.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634.jpg)
금낭화. 이 귀한 식물을 나물로 먹는다고 한다. 맛이 궁금한데 저 예쁜 꽃을 보고 먹는 상상을 하다니...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643.jpg)
돌단풍. 양양 오일장에서 돌단풍 나물을 파는 것을 보고 맛이 궁금했다. 그렇다고 몇줄기 솟아난
것을 달랑 먹어치울 수야 없지.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411/pimg_7872701833818644.jpg)
앞 집 이장님네 잔대. 이름도 낯설고 맛도 궁금. 언젠가 얻어 먹을 날이 오겠거니.
이밖에 참취, 얼레지, 우산나물, 병풍취 등이 있는데 아직 철이 이르다. 아니 얼레지는 나왔는지 모르겠다. 자나깨나 산불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