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31일부터 6월 26일까지, 하루 빼고 매일 찍은 사진이다. 하루를 건너뛴 건 이파리에 새똥이 떨어져서였다. 꽃을 찍으면 되었지 이파리에 새똥 하나 묻었다고 사진을 건너뛴 건 확실히 어리석은 일이다. 그땐 몰랐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렇다는 얘기다. 사소하고 이유 같지 않은 이유로 친구 하나 멀어지게 한 것처럼 쓰리고 후회스럽다. 살면서 이런 일이 여러 번 있었을 터, 이제야 뒤돌아보게 된다.

 

같은 꽃을 찍었지만 크기와 각도가 일정하지 않은 이유. 멍멍이가 지켜보고 있었다. 매일 오전과 오후에 멍멍이를 산책시키면서 한 손에 리드줄을 잡은 채 급하게 찍었다. 밖에 나오면 성질이 급해지는 멍멍이에게는 잠시 인내심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조련사도 아닌 나는 잠시 개의 자유를 억압하면서 즐거움을 탐했다. 그러니까 이 사진은 우리 멍멍이와의 합작품.

 

닷새동안 집을 떠나있다가 돌아와보니 꽃이 사라지고 없었다. 시들어서 꺾어버린 건지 그저 보기싫다고 없애버린 건지 꺾인 부분만 오도카니 남아 있었다. 그래도 이 꽃은 다른 꽃보다 오래 버티었다. 이 꽃을 매일 찍으면서 얼마나 조마조마했는지 모른다. 이것보다 위쪽에 핀 두 송이는 더 보기 좋고 탐스러웠는데 사람들 눈에 잘 띄는 바람에 일찌감치 누군가에게 가해를 당했다. 잘났다고 나대다가 당하는 건 꽃 역시 그런가보다.

 

수국이 한달가량 꽃을 피운다는 걸 처음 알았다. 또한 수국은 인간의 손에 의해 모습이 바뀐 식물이라는 것도.

 

 

 

 

 

 

 

 

 

 

 

 

 

'수국은 산수국의 크고 화려한 가짜 꽃만으로 만든 원예종이며 산수국과 달리 절대로 열매를 맺을 수 없다.' (191쪽)

 

'수국은 산성에서는 푸른 꽃을, 염기성에서 붉은 꽃을, 중성에서는 하얀색 꽃을 피워낸다."(187쪽)

 

 

 

수국, 너도 참 모진 삶을 살아내고 있구나. 인간의 눈요기를 위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책읽기 2021-07-04 13: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첨 알았네요. 수국에게 이런 사연이. 세상 난 것들에 이야기 없는 것이 없나 봅니다. 꽃도 정보도 감사해요.^^

nama 2021-07-04 13:31   좋아요 0 | URL
세상 난 것들은 다들 고통을 겪기도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