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쉬 스토리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접하는 이사카 코타로의 단편집이다. 하지만 그의 작품 <러시 라이프>라든가 <사신 치바>도 어떻게 보면 단편들의 모음 같이 여겨져 그렇게 낯설지 않다. 또한 구로사와가 등장하는 작품이 두 작품이나 되다보니 딱히 단편집이라기보다는 또 하나의 색다른 이사카식의 작품을 접하는 느낌이 더 강했다.
<동물원의 엔진>을 읽다보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당신의 회상이 물고기라면 과거의 아련함이 오늘 두 어깨에 기댄 두 생명을 지킬 힘이 되었을 게 틀림없다고. 그 과거의 밤중에 동물원에 있던 친구와 선배는 이제 사라지고 다른 길을 걷게 되었지만 그때 외로움 속에서 가진 것 아무 것도 없는 한 남자가 그래도 잃지 않았던 한가지만은 간직하고 있었음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아가느냐는 물음보다 살아감 자체가 급급한 현대인에게 산다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해준다. 나라면 그렇게 못할 테니까. 세상에는 그렇게 사는 사람이 있지만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인정해주기를 원하지도 않으면서 제 갈 길을 가고 있는 꺼지지 않는 엔진도 있다는 것은 이사카가 늘 말하고자 하는 다양한 삶에 대한 표현이다.
<새크리파이스>는 구로사와가 등장하는 단편이다. 직업은 빈집털이고 부업으로 탐정을 하는 구로사와는 악당은 아니지만 자신이 악당임을 자각하고 있는 인물이다. 매력적인 작은 악당이라고나 할까. 그가 한 남자를 찾아간 오지 마을에서 전해져 오는 풍습은 한 사람을 동굴에 가두는 기괴한 풍습이다. 으스스한 그 풍습보다 거대한 세계화속에서 그나마 그렇게라도 자신들의 과거를 지키려고 애를 쓰는 모습이 어쨌든 비밀이 있건 말건 간에 중요한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물고기가 사는 바다라면 그 바다에는 다양한 물고기가 있어야 마땅하지 않을까? 거대한 고래만이 몇 마리 헤엄치고 있는 바다가 과연 진정한 바다일지, 그런 바다를 우리가 원하고 있는 건지 생각해볼 일이다.
<피쉬스토리>는 표제작이자 독특한 전개 방식을 보여주는 단편이다. 영어로 피쉬스토리는 허풍이라는 뜻도 된다고 하는데 허풍 같은 얘기 전개 속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면 안 돼?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작가의 이야기가 물고기라면 그 오밀조밀한 참신함 때문에 읽지 않고 넘어갈 독자는 없지 않을까 싶다. 한번 이사카 월드에 빠진 독자라면 말이다.
<포테이토칩>도 구로사와가 등장하는 작품이다. 누군가 자살을 한다는 전화를 빈집털이를 하러 간 집에서 들었을 때 어떤 멍청한 빈집털이범이 기린을 타고 가겠다며 자살하려는 여자의 자살을 막을 수 있을까. 그런데 이마무라는 진짜 한 생명을 그렇게 구한다. 하지만 그는 불행하다. 보잘 것 없는 자신을 자식으로 가진 어머니가 불쌍해서. 하지만 이런 아들이 있는 어머니는 더 행복하다는 사실을 속으로 알지 않을까. 어떤 번듯하고 내세울만한 직업을 가졌지만 고약한 성격의 아들보다야 이런 마음을 가진 아들이 더 좋겠다 싶은데 내가 부모가 아니니 뭐 알 수는 없다. 하지만 어머니의 마음이 물고기라면 그 물고기가 헤엄칠 만큼 넓은 바다는 전 우주를 합친 것보다 더 클 테니 걱정할 필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어머니니까.
네 편의 작품이 모두 마음에 든다. 마음에 남는다. 노래의 빈 간주 사이에서 누군가 행복해질 수 있다면 그 노래보다 뜻있는 노래가 없듯이 어떤 작품을 읽느냐가 아닌 그 작품을 읽고 내가 무엇을 느꼈느냐가 중요하다는 생각 속에서 작가가 무엇을 전하려 했든지 간에 이사카 코타로의 작품을 읽으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중요하고 소중하게 느껴진다. 그가 무엇을 하든, 그가 그저 바닥에서 누워 잠만 자는 노숙자라 할지라도. 내가 이사카 코타로를 좋아하는 이유는 이런 까닭이다. 그것이 단지 작가의 터무니없는 허풍, fish story이라 할지라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