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가의 죽음 1 - 법의관 ㅣ 케이 스카페타 시리즈 15
퍼트리샤 콘웰 지음, 홍성영 옮김 / 노블하우스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도 모르는 사이에 어느새 스카페타 시리즈에 푹 빠져버린 것 같다. 법의관을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소설가의 죽음'은 또 어떤 끔찍한 사건이 도사리고 있을까 .. 기대하면서 읽었다. 이런 소설에서의 피비린내나는 끔찍한 사건들과 인간의 악한 심리를 따라가다보면 인간이라는 동물에 대해 매우 호기심이 생긴다.
얼마전에 신문에서 미국의 한 연쇄살인범에 대한 기사를 읽게 되었다. 그는 공원에서 일하는 한 가정의 가장으로 주변 이웃에게도 평판이 아주 좋은, 평범하디 평범한 사람이었다. 그런 사람이 연쇄살인을 저질렀다는 점을 보자면 그와 비슷한 인간들을 소재로 한 이런 소설에서는 논픽션의 기분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흥미진진한게 아닐까..
법의관에서는 사건에 대한 전문적인 분석, 용어가 많아서 다소 이해하지 못하고 지루한 부분도 있었던 반면 소설가의 죽음은 드라마의 비중을 좀 더 높여서 한층 더 재미있게 읽었다. 그러나 전문적인 용어가 많이 나오지 않는 대신, 한 소설가의 죽음으로 얽힌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법의관에서는 용어때문에 혼란스러웠다면 소설가의 죽음에서는 많은 등장인물 때문에 혼란을 겪었다라고 해야 할까나...( 솔직히 책을 다 읽고 나서도 '스파라치노' 라는 작자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콘웰의 소설이 재미있는 이유는 스카페타라는 주인공이 여성이라는 이유도 있지 않을까... 콘웰이 여주인공의 비중을 더 높이면 좋을 것 같다는 출판사의 제의를 받지 못했다면 어쩌면 이 책이 세상에 나오지도 않았을 것이고, 설령 책이 나온다고 해도 책 자체가 재미있어서 인기는 있겠지만, 지금과 같은 인기는 끌기 힘들었을 것 같다. 섬세함과 감성적인 면 그 이면에서 나오는 남성 못지않은 에너지와 파워풀함을 고루 갖추었다는 장점을 지닌 여성을 주인공으로 택한 점은 아주 탁월한 선택이었다고 본다.
마리노가 스카페타역을 맡았다면, 소설 자체가 아주 신경질적인 성격이 되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도 함께 해보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