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분히 주관적인 내용입니다.
이미 한물 지난 이야기일지는 몰라도 마침 댓글이 올라 왔길래 좀 떠들어 보겠습니다.
|
실론티님 // 아...전 청계천 복원에 대해 대단히 엄청나게 불만인 사람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그건 복원의 의미가 아니라 콘크리트 어항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사업에서 파생된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으시면 아마 그곳에 대한 정이 싹 떨어지실지도 모릅니다..^^
- 2006-09-09 12:42 |
|
ㅋㅋ 나중에 비하인드 스토리 들려주세용... ^^ - 2006-09-13 13:26 |
이런 댓글이였다죠~~^^
청계천 말이 많았었죠. 당시 시장인 L씨의 임기 내에 공사를 완료하기 위해 무리수를 두었다는 이야기부터그 사람이였으니까 이일을 해냈지 누가 이일을 시도라도 했겠냐는 말도 있었다죠...어찌 되었던 공사는 완료가 되었고 많은 시민들이 애용하게 되었습니다. 주관적인 평가를 내려 보자면 지금의 청계천은 콘크리트로 만든 대규모의 어항일 뿐입니다.라고 아주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싶습니다.
사실 청계천의 복원계획은 지금같은 모습이 아니였습니다. 이 분야의 전문가들인 대학교수들이 계획안을 디자인했고, 그분들의 계획목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생태하천과 친환경적인 모습을 가진 청계천이였습니다. 계획안이 관에 제출되고 공사를 주관하는 서울시 측에서도 OK 싸인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초기안과는 다르게 모든 일이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여러가지 추측이 난무했었죠. 너무 길은 공기때문에 L씨의 임기 내에는 공사가 완료가 될 수 없어서 계획안을 뒤집어 버렸다부터 공사비가 너무 불어서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등등...여러가지 이야기가 나왔었습니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사실은 이러한 변경사실이 계획안에 참여했던 교수진들에게는 통보조차 안되었다고 합니다. 자존심 상한 교수 중에 한분은 시내에 약속이 잡혀 약속장소를 가는 길에 청계천이 있다면 그 흉물이 보기 싫어서 멀리 돌아간다. 라는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생각까지 나타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공사의 규모에 비해 쾌속으로 완공이 되었죠.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미국의 보스톤이라는 도시에 인간이 축조한 흉물이 하나 있었습니다. 도시를 가로지르는 철교였는데 오래되고 노후되다 보니 시퍼렇게 녹이 슬어 버려서 `그린 몬스터'라는 명칭으로 불렸던 다리가 있었습니다. 보스톤 시에서는 이 다리의 철거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었죠. 이 다리를 이용하는 하루 교통량이 어마어마 하다는 것.. 다짜고짜 다리를 철거해 버리면 아마 보스톤 시는 엄청난 교통란에 직면하게 되었을 상황이였습니다. 보스톤시는 차근차근 준비해 나갔습니다 시민을 상대로 상당한 시간을 들인 설문조사를 했고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해 교통난을 극소화 시키는 방안을 모색했습니다. 기획과 계획만 5년 가까히 소비하고 나서 비로서 최상의 방법을 동원해 시민들이 최소한의 불편을 받게끔 철거공사를 했다고 합니다. 청계천 얼마만에 완공되었나요. 2년 3개월 걸렸습니다. 더럽게 빠른만큼 보이지 않는 하자는 많을 껍니다.
뉴스를 통해서 들어 보셨겠지만. 기존의 청계천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뚜껑을 덮고 그 위에 고가도로를 올려 놓은 구조였습니다. 고가를 철거하고 뚜껑을 뜯어 내는 것이 청계천 복원 공사의 초기 단계 였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뚜껑을 뜯다 보니 조선시대 청계천에 놓여져 있었단 석조다리들이 드러났다는 겁니다. 언론에 노출된 하나만 공사기간을 맞추기 위해 중장비로 쓸어버렸습니다. 조선시대 청계천의 다리는 하나가 아니였을 것이며, 오랜시간이 흘렀지만 콘크리트 뚜껑에 묻혔던 다리가 과연 하나 뿐이였을까요.?
이밖에도 완공이 임박한 단계에서도 여러 잡음이 끊이지 않았었죠..물을 대야 하는데 그 요금지불에 대하여 서울시측과 수자원공사측에서 대립했었고, 완공하고 나서도 안전장치의 미비로 첫날인가 둘째날부터 부상자가 속출하는와중에 사망자도 한명 발생한 걸로 기억합니다.
충분한 시간을 들여 전문가의 의견을 십분 반영하면서 기획을 하고 계획을 했다면, 아마 우리는 지금까지 청계천의 복원모습을 못보며 공사중인 모습만을 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완공되었을 때는 지금의 모습보다는 월씬 아름답고 찾아가고픈 장소로 시민들에게 애용되진 않을까 주관적으로 생각합니다.
급히 먹는 밥이 체하듯이, 이렇게 후다닥 완공을 해버린 청계천은 분명 초기의 계획안보다 공사비는 적었을지는 모르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지와 하자보수를 위한 금액은 상상을 초월할 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