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ictus(Unconquered) 정복되지 않은 자들
by William Ernest Henley(1849 - 1903)
Out of the night that covers me,
Black as a pit from pole to pole,
I thank whatever Gods may be
For my unconquerable soul.
저를 뒤덮고 있는 무지의 어둠으로 인해
온 세상이 지옥의 구덩이처럼 캄캄하지만
제어되지 않은 저의 영혼을 위해
신들께서 그 무엇을 마련해 두실지라도
저는 감사 드립니다.
In the fell clutch of circumstance
I have not winced nor cried aloud
Under the bludgeonings of chance
My head is bloody but unbowed.
잔인한 환경의 손아귀에 붙잡혀 쥐어 짜이면서도
저는 겁을 먹어 위축되거나 소리내어 울지 않았습니다.
우연의 곤봉에 난타 당해 제 머리가 피투성이가 되어도
저는 결코 머리를 숙이지 않았습니다.
Beyond this place of wrath and tears
Looms but the horror of the shade
And yet the menace of the years
Finds and shall find me unafraid.
분노와 눈물로 가득한 이 자리를 넘어서면
오직 어둠의 공포만이 어렴풋이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하지만 세월의 위협은 지금도 앞으로도
결코 제가 두려워하는 모습을 발견하지 못할 것입니다.
It matters not how straight the gate,
How charged with punishements the scroll,
I am the Master of my Fate
I am the Captain of my Soul.
천국의 문이 얼마나 곧게 뻗어있든
저승의 두루마리에 제 몫의 형벌이 얼마나 적혀있든 상관없습니다.
저는 제 운명의 주인인 것입니다.
저는 제 영혼의 지휘관인 것입니다.
이제 내년이면 80이라는 나이로 접어드는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이 새로운 영화를 선보인다. 작년 이맘때 체인질링과 그랜 토리노로 다시 한 번 내가 그의 광팬임을 일깨워줬던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위의 시는 영화 속 등장인물이며 실제인물이기도 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권 운동가이자 최초의 흑인 대통령인 넬슨 만델라가 평소 즐겨 읊조리던 월리엄 어네스트 헨리의 시라고 한다.
내가 알고 있는 만델라의 단편적인 지식만으로도 그와 너무나 어울리는 시다. 아마 그걸 알기에 감독은 자신의 영화 제목에 적임으로 보고 선정했는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