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수리로 방향을 잡고 전화로 수리 진행해달라고 했더니 바로 그 날 오후에 다 고쳤다고 가지고 온다고 한다. (겁나 빠르다.)
내가 이용하는 통신사는 업계 3위(말이 좋아 3위지 꼴찌다.)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맘에 드는 서비스가 있다면 단말기 고장 시 AS센터를 방문하지 않고 기사가 직접 방문한다는 것이다. 수리하는 동안 사용하라고 임대 폰도 무료로 대여해준다.(15일간) 이런 과정을 거쳐 고장 난 핸드폰이 어제 다시 내 수중으로 돌아왔다.
방문하신 기사님께 임대폰 반납하고 내 폰을 받으며 슬쩍 이 서비스 이용하는 분들 많으냐. 부터 시작해 통신사 이동 등에 대해 잡스러운 질문을 던져 봤다.
아무래도 직장을 다니시며 시간 내기 힘드신 분들이 이 서비스를 많이 이용한다고 한다. 더불어 통신사 이동에 대해서 자기도 한 통신사만 이용하시라고 고객님께 강요하긴 힘든 구석이 있다고 말씀하신다. 이래저래 대화를 나누는 도중 재미있는 말씀을 하신다.
“고객님들 많이 만나고 방문하다 보면 까다로운 분들도 있으세요. 핸드폰 고장 났으니 다짜고짜 새 것으로 바꿔달라는 분. 기계 고장 났으니 이참에 내가 여기 단골이니까 최신 폰으로 바꿔오라는 분들도 종종 있어요. 안 그러시는 분도 많지만 이런 무리한 요구를 고압적으로 요구하시는 고객님들 마주치면 참 난감해요. 그런데 재미있는 사실은 부자동네, 겉보기에 부유해 보이시는 고객님들이 이런 경향이 더 심하더라고요.”
기사님과의 대화에서 요즘 TV에서 보여주는 모 은행의 광고가 생각났다. 천원이 싸다고 길 건너 중국집에 가서 점심을 먹는 사장님. 아들이 마루에 동전 떨어트렸는데 먼저 주은 내가 임자라며 아들에게 절대 돌려주지 않는 아버지. 결론은 그래서 우리 사장님 우리 아버지는 부자라는 마무리...
부자임에도 불구하고 근검절약하는 모습은 타의 모범이 되고, 부자가 되는 밑거름이라는 사실은 부인하기도 힘들고 틀린 말은 아니라고 보고 싶은데, 근검절약의 대상이 없는 사람, 약자에게 향한다면 어떤 상황일까. 정도껏 소비하는 부자가 경제를 윤택하게 돌린다는 말도 있다는데 가끔 배포 크고 대범한 부자들이 진정한 부자는 아닐까 생각해 본다.
뱀꼬리 : 내가 사장이라면 직원들에게 천원 싸다고 말하는 대신 맛있어서 라는 둘러댈 것 같은데. 더불어 직원들과 점심 먹는데 기본 요리 3개 정도는 필수로 시켜줘야 사장이지...쪼잔 하게 자장면 하나만 달랑....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