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오지마로부터 온 편지 - Letters From Iwo Jima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영화를 감상하는 건 누구나 할 수 있는 행위지만 영화가 무엇을 말하는 건가를 판단하는 건 쉽지만은 않다. 감독마다 여러 가지 수법을 동원하지만, 가끔 당최 이 감독이 무슨 이유로 이 영화를 만들었나 생각하는 것 자체만으로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오는 영화들도 존재한다. 이런 영화들을 어떤 사람들은 예술영화라 지칭하기도 한다. 예술이 어렵다는 건 좀 모순이긴 하지만...
그런데 오늘 말하려고 하는 영화는 이리 저리 우로 꼬고 좌로 꺾고 비트는 기법으로 영화를 만드는 감독의 영화가 절대 아니다. 80줄에 들어섰으면서도 여전히 영화에 출연하고 영화를 만드는 감독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직접적인 감상의 느낌이 오게끔 하는 강력한 강속구를 주 무기로 쓰는 정통파 투수와 같이 영화를 만드는 양반이다. 이 양반이 2006년에 영화 한편을 만드셨다. 장르는 전쟁영화다. 배경은 2차 세계 대전 아시아 전선의 교두보적인 역할을 했던 유황도(이오지마)에서의 혈전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영화의 배경이 이러하니 나오는 배역들은 역시 동양인(일본인)이 기존의 미국영화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나온다. 그리고 영화의 제목에서와 같이 일본군의 시선에서 영화를 이끌어 가고 있다. 미국의 자본과 제작사 그리고 뼈 속까지 골수 미국인이라 해도 이견이 없어 보이는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시선이 그때 그 잔혹했던 아오지마를 훑고 지나간다.
영화 속에 나오는 일본군들은 우리가 익숙하게 봐왔던 사무라이 정신으로 무장하고 천황폐하만세를 외치는 열혈 군국주의자들의 모습과는 동떨어져 보인다. 마지못해 끌려와 죽음의 문턱까지 내몰린 사람들, 미군 사관학교 유학시절 받았던 콜트권총을 애지중지 품에 안고 있는 지휘관까지 어쩌면 전쟁이라는 핏 구덩이와는 접목이 될 수 없는 인간 군상들을 여러 차례 여과 없이 보여준다. 그리고 역사가 말해주듯 이 영화에 등장한 일본군들은 대부분 이오지마에서 전사하게 된다.
이런 역사적인 과정을 감독은 어떠한 감정이입 없이 묵묵하게 보여준다. 봐라 전쟁이란 이런 거다. 개개인의 이상과 희망 따윈 없다. 맹렬한 군국찬양주의자도 결국 총칼 앞에선 나약한 인간일 뿐이다. 이런 것들이 얼마나 부질없는 짓인가. 사기고양을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영웅의 길을 강요당하는가. 를 끊임없이 보여주고 있다. (주관적인 판단임을 밝히는 바입니다.)
그러나 이 영화가 국내에서 상영되었을 때 이러한 감상 포인트와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의미가 과연 제대로 읽혀졌는가에 대해선 그렇다. 라고 말하기 힘든 부분을 찾게 된다. 이건 우리나라의 과거 역사와 깊은 관계가 있어 보인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포탈에 올라와 있는 양극으로 팽팽하게 맞서는 감상평에서 돌출된다. 예상대로 추천에 걸린 영화평들은 반전영화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고 그 반대 비 추천에 걸린 영화평들은 반성은 없이 자신들도 피해자라고 강변하는 일본의 현시점을 강조하고 있다. 영화가 영화의 틀을 벗어나 시사와 과거사까지 포괄적으로 포함되어 개개인의 여러 감상들이 대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양극적인 성격을 지닌 감상평에 대해 뭐가 옳고 그르다. 라는 판단은 쉽게 내릴 수 없어 보인다. 어차피 영화를 보는 관점은 개개인마다 다르며 그것이 표출되어 글로 기록되어질 땐 부정할 수 없는 주관적 성향이 이입된다. 자신들이 성장하며 형성되었을 가치관과 함께 말이다. 단지 뭔가 한마디를 슬쩍 흘리고 싶다면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를 봤다면 같은 감독이 같은 해에 만든 또 다른 전쟁영화 “아버지의 깃발‘을 감상하라 권하고 싶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30984.jpg)
같은 전쟁터에서의 다른 시점, 영웅을 강요당하는 모습과 만들어지는 모습, 이 노감독이 두 편의 영화에서 과연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조금이나마 근접할 수 있는 일종의 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