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나라에 태어나서 30여년 넘게 살아오며 난 자의가 아닌 타의에 의한 선택을 강요받아왔는지도 모르겠다. 초등학교를 입학과 동시에 시작된 아리까리한 4가지문항 중에 하나를 선택하라는 객관식 시험문제에 선택을 강요당해왔다, 이 선택의 순간은 전개되어지는 교육정책과정에서 충실하게 지속되었다. 그나마 군대 입대를 위한 신체검사에서 풀었던 예/아니오는 확률 50%로 정상, 미친놈을 판가름하는 비교적 난이도가 낮은 선택의 순간과 마주쳤던 기억도 난다.

그 후 대학이라는 곳에서 객관식은 대부분 사라져버리고 가뭄에 콩나듯 객관식이라는 선택의 순간이 왔었지만 웬걸 머리 크고 사회에 나오는 더더욱 골 때리는 선택의 순간에 봉착하게 되버린다.

저거저거 나이, 계급 띠고 한 번 받아버릴까.
절대로 그 날짜에는 못 맞춘다고 직언을 던져버릴까.
나 이 여자와 결혼해도 될까..
나 지금 형편에 아이를 낳아야 하나..
사무실 때려치고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 날까...
자식의 교육을 위해 조금은 무리수를 둬볼까...
확 뒤집어버리고 잠수타버릴까...
저 인간..죄다 까발려서 처참하게 묵사발로 만들어버릴까...

등등 수도 없이 학생때 만났던 정형화된 선택이 아닌 추상적인 선택의 기로에서 많이도 우왕좌왕하곤 했었다. 그 중 몇 가지는 결과치의 환산으로 완벽한 선택을 했던 반면 때를 놓쳐 최선의 결과치를 내지 못했던 경우도 종종 발생하곤 한다.

위의 지극히 개인적인 사항에 대한 선택의 경우의 연장선상으로 난 오늘 대부분의 이 나라 국민이면 강요당했을 혹은 갈등했었을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 원래의 나라면 분명 12지선다형 문제지에 다다다 12개의 붓뚜껑을 찍었어야 가장 나답다라는 선택을 했어야만 했을지도 모른다. 단지 이번 선택이 다른 때의 선택과는 다른 이유는 역사상 최악의 후보 등장이라고 주관적인 판단을 앞섰기에 그 반대급부에 단 한 개의 붓뚜껑 자국을 남기는 선택을 취했다.

결과는 어쩌면 뻔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선택의 결과치에 따른 나의 투쟁은 지금부터다.

뱀꼬리 : 투표를 마치고 사무실에 출근하는데 오늘따라 사무실 이 뻑뻑한게 잘 열리지가 않는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춤추는인생. 2007-12-19 1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난선거때는 얼마나 흥미진진했어요. 실은 그때는 투표권도 없는 주재에 노무현이나 이회창이냐 엎치락 뒤치락 밤을 새가면서 즐겼는데. 이번엔 그렇죠?
누가 된다한들. 그냥 시큰둥해져요.
ㅎㅎ 그나저나 메피님 사무실 너무 하신다. 오늘까지 출근이라니... ^^

야클 2007-12-19 16: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객관식 문제 풀다보면 보기중에 "답없음"이란 보기도 있는데, 오늘은 그런 보기가 없어서 좀 괴로웠습니다. ^^

antitheme 2007-12-19 1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지금 사무실인데 메피님도 연말까지 고생이 많으십니다그려...

미미달 2007-12-19 2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차이가 많이 날 줄은 몰랐네요. -_-;;
일단 사상 최악의 투표율은 즉 뽑을 사람이 없기 때문일 터이고,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은 그만큼 경제가 어렵다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Hani 2007-12-19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출구조사에서 과반수 넘는거 보고 기절할뻔 했는데, 과반수는 안 넘어야할텐데... 선택치의 결과에 따른 투쟁은 지금부터라는 말.. 저도 함께합니다.

보석 2007-12-20 09: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결과 보니 답답;; 오늘 아침 신문은 스포츠면과 문화면만 봤어요. 당분간 계속 그럴 듯합니다.

Mephistopheles 2007-12-21 0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춤추는인생님 // 그래도 대선기간동안 직장에서 해고당한 이랜드 노조위원장들에 비하면 선거날에도 나와 일할 수 있는 직장이 있다는 건 다행이라고 생각되요..^^
야클님 // 예 저 역시 문후보를 찍긴 했지만서도. 기호 5번 옆에 붙은 사퇴라는 글씨가 1번부터 12번까지 다 써있길 바랬습니다. 대체 뭘 하자는 건지..
안티테마님 // 그래도 전 한참 바쁠때에 비하면 약간의 여유는 생겼습니다 저보다 안티테마님이 더 바쁘신 듯 하네요..건강 챙기시면서 일하시는 거죠? ^^
미미달님 // 글쎄요..경제도 경제지만. 국민들의 도덕불감증이 도가 지나쳤다고 해석이 가능해집니다. 남이 어찌되던 일던 나부터 배부르고 보자..내 배를 불리기 위해 타인에게 치명적인 손해가 간다면 아무 거리낌 없이 행하는 일종의 방종스런 이기주의가 꽤나 많이도 퍼진 듯 싶습니다.
하니님 // 사람이 쉽게 변하진 않을껍니다. 대통령전에 해던 행동이 대통령이 되었다고 쉽게 고쳐질까요. 이미 언론도 주물럭거리는 듯 하더군요. 방법없죠 뭐 저같은 소시민이 눈에 힘주고 바싹 긴장하면서 살아가는 수밖에요..^^
보석님 // 전 당췌 이해가 안가요. 물론 현정부의 배신과 무능은 누구나 느끼는 사항이지만 그런 정권을 교체하는 정당이 없어져도 이미 예전에 없어져야 했을 부패와 기득권의 간판 한나라당이라는 것이 참 이해가 안갑니다. 이건 완벽한 한 국가의 수준을 평가하는 테스트성격이 강한 투표였어요..결과는 낙제라고 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