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싱 (バッシング: Bashing, 2005)
이 영화를 올해 1월 달에 보고 나서 그 현실이 이 땅에서 지금 재현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차이점이라면 영화속의 주인공은 혼자였고 현실의 그들은 머릿수가 제법 많다. 아울러 그녀의 배경엔 진정한 자원봉사가 있었고 우리나라 그들은 기독교라는 막강한(?)종교적인 배경이 존재한다.
영화 속의 유코는 석방 후 자국에서 비교적 자중하며 조용한 생활방침을 정한 반면 우리나라 그들은 직접적이진 않지만 벌써부터 소란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두바이 면세점 쇼핑백의 정체의 진위여부나 바지에 빼곡하게 썼다는 수감일지 등등 왠지 모를 조작의 냄새와 위선의 냄새가 폴폴 풍기는 불확실한 사실만큼은 배제하고서라도 이미 먼저 풀려난 석방자들의 가족들을 대상으로하는 교회의 "간증"이 시작되었나 보다. 아마도 석방된 그들이 풀어준 이야기를 가지고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기독교 관련 서적도 봇물을 이루며 출간될 것이고 그들의 간증릴레이 또한 시간차를 두고 활발하게 벌어질 것이 뻔하다고 하면 뻔할 이치일 것이다.
이번 석방의 배경에 어떤 거례가 오갔는지 알 방법은 없겠지만 저들이 말하는 단지 4가지의 협정사항만을 가지고 "인도적인" 인질석방을 액면 그대로 믿을 사람은 아마도 없을 듯 하다. 분명히 밝히기 힘든 모종의 거래가 오고 갔을 것이며 이번 사태를 정치적으로 이용할려는 사람들도 분명 존재할지도 모를 일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텔레반 무장세력의 협정 중 "NGO나 기독교봉사단체의 아프칸 출입을 일절 금지한다"라는 조항에 바로 기독교단체에서는 대규모는 아니더라도 소규모로 기존의 선교 방식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얼마나 웃기는가 그들이 석방되기 전에 울려퍼지던 기독교 내부의 자성의 목소리가 석방과 동시에 바로 파묻혀버린 듯한 느낌이다.)
이번 사태 관련 페이퍼나 댓글에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개신교의 내부계혁과 혁신은 일어나진 않을 것이다 라고 판단했고 이미 그러한 모습들을 제대로 보여 주기까지 하고 있다. 선교방식의 기존대로 유지해나가며 오히려 범국가적인 기독교 단체를 만들어 비기독교지역의 선교를 강화하겠다고 하고 그들이 입국한 공항엔 "응원단"까지 파견된 모습을 보면 우리나라 기독교는 이제 갈때까지 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영화 속의 유코는 결국 조국을 등지고 삶의 유지가 확실하지 않은 그 땅으로 다시 돌아가면서 끝을 맺는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어떠할까.
아리따운 뉴스 앵커의 말마따나 그들은 지옥을 벗어났다 손 치더라도 분명 조국에서 영화 속의 유코와 같은 또 다른 지옥을 마주칠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지옥은 잠시일 뿐 그들의 막강한 보호막인 종교단체의 비호를 받으며 예정된 행보에 돌입할 것이다.
이미 일부 교회에서는 그들의 영웅화, 성자화 만들기를 시작하고 있다. 인정하기 싫지만 이게 우리나라 기독교의 이미 벌어지고 있는 한계이며 현실이다.
뱀꼬리 : 모태신앙 3대째이면서도 개날라리신자인 나는 오늘이 세번째 금요일이 아닌 진정한 일요일을 맞이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를 가지 않았다. 집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확인한 바로는 기도 도중에 역시나 "하나님의 은총으로 그들이 풀려났다"는 내용이 빠지진 않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