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身邊雜記 161019

- 마요네즈

 

1999년도 영화 <마요네즈>가 있다. 영화를 보지 못했다. 영화 소개 글을 통해 대충의 줄거리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김혜자와 최진실의 극중 캐릭터만 알고 있었다.

 

딸 같은 엄마와 엄마 같은 딸. 이 영화는 원작 소설이 있는 영화다.

 

나는 아이가 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내 어머니와 내 안해 이외에 다른 성격의 엄마를 접할 기회가 없었다. 그런데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 후 아이의 친구를 알게 되면서 다른 집의 엄마들을 대하면서 새로운 느낌을 갖는다.

 

1) 어른스러운 엄마, 어른스러운 딸 ; 아이가 엄마를 닮아 빨리 어른스러워졌나 보다.

2) 어른스러운 엄마, 어린이 같은 딸 ; 아이가 아직 엄마만큼 성숙되지 못했구나.

3) 어린이 같은 엄마, 어린이 같은 딸 ; 집안 분위기겠지.

4) 어린이 같은 엄마, 어른스러운 딸 ; 뭐지?

 

어린이 같은 아버지와 어른스러운 아들의 조합도 알고 있으나 이 경우에 어린이 같은 아버지를 말로만 듣게 되고 직접 경험하지는 못했다. 그런데 딸아이의 친구들과 교류하게 되면서 어린이 같은 엄마, 어른스러운 딸의 조합을 경험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전혀 불가능하지 않고, 해석도 가능하지만, 내가 느끼는 감정을 포함하면 인지(이성-감정)부조화다. 책을 기다리면서 떠오른 생각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6-10-21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린이 같은 엄마, 어른스러운 딸’의 조합을 많이 봤어요. 드라마나 영화를 잘 살펴보면 주로 똑똑한 (전문직을 가진) 엄마의 딸이 어른스럽고 상대적으로 전문직을 가진 엄마는 유치한 행동이나 말을 합니다. 왜 그럴까 생각해 봤는데...
딸은 일단 엄마의 똑똑한 유전자를 물려받아 어른스러운 말을 하는 것이고
엄마는... 아이가 상대적으로 너무 똑똑해 보이니까 엄마는 낮아 보이는 게 아닐까 싶어요. 또는 똑똑한 엄마일수록
교육열은 낮고(자기를 닮아 공부를 잘 할 줄 알고) 아이와 말할 때 지성 티를 내기보단 순수를 또는 동심을 추구해서인지...
똑똑한 엄마일수록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 줘서 아이의 말 솜씨가 발전한다고 볼 수도 있고...
쓰다 보니 잘 모르겠네요... 작가들은 왜 그렇게 쓸까, 하고 생각해 봤던 적이 있습니다. 이게 궁금했거든요.
어쨌든 ‘어린이 같은 엄마, 어른스러운 딸’의 조합은 흔한 조합입니다. 저에게는...

마립간 2016-10-21 15:04   좋아요 0 | URL
제가 언급한 것은 성품에 관한 것입니다. 그리고 (제 아이의 친구인) 초등학생 아이라서 똑똑한 것(지성)과는 좀 거리가 있고요, 단지 성품도 pek0501님의 의견인 상호보완적일 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