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身邊雜記 161019
- 마요네즈
1999년도 영화 <마요네즈>가 있다. 영화를 보지 못했다. 영화 소개 글을 통해 대충의 줄거리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김혜자와 최진실의 극중 캐릭터만 알고 있었다.
딸 같은 엄마와 엄마 같은 딸. 이 영화는 원작 소설이 있는 영화다.
나는 아이가 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내 어머니와 내 안해 이외에 다른 성격의 엄마를 접할 기회가 없었다. 그런데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 후 아이의 친구를 알게 되면서 다른 집의 엄마들을 대하면서 새로운 느낌을 갖는다.
1) 어른스러운 엄마, 어른스러운 딸 ; 아이가 엄마를 닮아 빨리 어른스러워졌나 보다.
2) 어른스러운 엄마, 어린이 같은 딸 ; 아이가 아직 엄마만큼 성숙되지 못했구나.
3) 어린이 같은 엄마, 어린이 같은 딸 ; 집안 분위기겠지.
4) 어린이 같은 엄마, 어른스러운 딸 ; 뭐지?
‘어린이 같은 아버지와 어른스러운 아들’의 조합도 알고 있으나 이 경우에 어린이 같은 아버지를 말로만 듣게 되고 직접 경험하지는 못했다. 그런데 딸아이의 친구들과 교류하게 되면서 ‘어린이 같은 엄마, 어른스러운 딸’의 조합을 경험하게 된다.
이론적으로 전혀 불가능하지 않고, 해석도 가능하지만, 내가 느끼는 감정을 포함하면 인지(이성-감정)부조화다. 책을 기다리면서 떠오른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