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60920

 

과학한다, 철학한다

 

알라디너 S1과 댓글 대화를 나눈 뒤라 상대의 감정을 상할까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예전 목사님의 설교 말씀의 일부분이다.(아래 이야기는 관점에 따라 무신론자가 이야기했어야 맞다.)

 

무신론자 A와 기독교인 B가 신의 유무에 대해 논쟁하고 있었다. 무신론자 A가 신이 없다는 증거로 내가 신을 모욕하겠다. 욕을 하겠다.”고 말하였다. 만약 신이 있다면 신을 모욕한 죄로 천벌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하늘에 대고 무지막지한 욕을 했다. 한참 욕을 할 때도, 한 이후에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무신론자 A봐라 이것이 신이 없다는 증거다라고 말하니, 기독교인 B는 이것은 신이 없다는 것의 증거가 아니고 신의 인자하심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지상 최대의 쇼진화가 펼쳐낸 경이롭고 찬란한 생명의 역사 (리처드 도킨스 ,2009)에서 고대 로마의 존재 여부를 진화론에 비유해서 설명한다.

 

p14 당신이 로마사와 라틴어를 가르치는 교사라고 상상해보라. ... 정치적으로 특히 경제적으로 강력한 지원을 등에 업은 일군의 무식한 자들이 늑대 떼처럼 당신을 몰아세우며, 가엾은 당신의 제자들에게 로마인 존재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설득시키려고 끈질기게 노력한다. ; 무식자 들이라는 표현은 좀 감정적이다. 사람들이라고 하자.

p22 이론이란 무엇인가? 사실이란 무엇인가?

 

얼마 전 내가 남성과 여성에 대한 글에 알라디너 S2 님이 아래와 같은 댓글을 남겼다.

 

; 여성이 남성보다 공감능력이 뛰어나다는 말은 어떤 근거에서 나온 의견인지요?

; ...제가 성별차보다 개인차를 중요하게 본다는 건, 성별적 특질에 관한 생물학적/진화론적 연구가 진행중에 있고, 연구 데이터도 상반되고 경합하는 중이며 가령, 사회생물학에 대한 인문학적 비판도 만만치 않습니다. 해서, 그것을 섣불리 판단의 근거로 삼거나 뭔가를 유추 해내는 일, 그것보다는 개인적 퍼스낼리티로 접근하는 편이 훨씬 합리적이라 판단되어서 한 말이구요.

 

이에 대한 나의 답변은

; 과학이 확률적 지식이지만 객관성의 강도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면 지동설의 경우 역시 과학으로 확률적 지식이지만, 바뀔 확률이 낮을 것입니다. 수학보다는 물리학이 물리학보다는 생물학이, 생물학보다는 인지과학이 객관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성별적 특질에 관한 생물학적/진화론적 연구에 관해서는 제 의견은 어느 정도 연구 결과가 확립된 상태라고 봅니다. 물론 진행 중인 분야도 있겠지만요. (그리고 아무리 연구가 진행되어도 수학과 같은 객관성을 갖지는 못할 것입니다.)

현대 과학은 연구, 동기, 결과에 있어 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모든 과정에서 윤리적 판단을 요구하고 과학자가 하지 못하는 부분을 인문학 분야에서 가치 판단을 하고 있지만, 가치 판단에 의해 사실 판단이 바뀌지 않습니다. (알라디너 S1님의 글과 대구를 맞추자면, ; 자연적인 것이 옳은 것은 아니다. 그리고 옳지 않다는 판단이 내려졌다고 해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진화심리학에 관해서도 어느 정도가 과학인지 (아니면 어거지인지), 과연 설득적인지, 어디까지가 사실판단에 해당되고 어디부터가 가치판단에 해당되는지를 어떤 누군가에게 설명하기는 힘들다.

 

알라디너 S3 님과는 대체( 또는 대안) 의학에 짧게 댓글 대화를 나눴다. 알라디너 S3님은 주류 의학에서의 대체 의학에 대한 무시가 기득권으로 보았고 나는 대체 의학을 비과학으로 보았다.

 

시간의 역사p21 (버트랜드 러셀이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 강연이 끝나자 한 자그마한 노부인이 뒷자석에서 일어나서 하는 말이 당신이 한 이야기는 엉터리예요. 우주는 큰 거북 등에 얹힌 납작한 널빤지라구요.” 그 과학자는 넌지시 웃으면서 그 거북이가 올라 탄 것은 무엇이지요?”하고 되물었다. 노부인은 말했다. “젊은 양반, 참 똑똑도 하시군요. 그렇지만 이건 밑바닥까지 전부 거북이란 말씀이에요!” ... 그렇다고 과연 우리는 더 나은 생각이 있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 ; 마립간이 지지하는 과학이 진리에 더 가깝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

 

내가 알라디너 M 님에게 페미니즘이 종교화되고 있는 것 같다는 댓글을 남긴 적이다. 이 말 역시 설명하기 힘들다. 내의 -페미니스트의 정서가 종교화되지 않았다고 증명할 수 없다. 단지 내게는 천동설보다 지동설이 더 설득적이었고 창조론보다는 진화론이 더 설득적이었다. 내게 유리천장의 비밀- 남자 일과 여자 일은 따로 있는가? 다윈의 대답 시리즈 4’이 더 설득적이었다면, 다른 누군가에게는 페미니즘의 모순이 더 설득적이다.

 

성경 ; 우리가 지금은 거울로 보는 것 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지금은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 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고린도전서 13:12)


댓글(8)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16-09-20 0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알라디너 S1입니다ㅎㅎ
오늘도 역시 질문하러 들렀습니다.

진화심리학에 관해서 말씀하신 ˝어느 정도가 과학인지, 과연 설득적인지˝ 까지는 이해가 되었는데, ˝어디까지가 사실판단에 해당되고 어디부터가 가치판단에 해당되는지를 설명하기 힘들다.˝ 하신 부분에 대해서 예시를 제공해주실 수 있을까요? 일단 가치판단에 들어서서 그게 옳은지 그른지 설명하기 힘든 경우는 생각해 볼 수 있겠는데, 판단 자체가 사실판단인지 가치판단인지 구별하기 힘든 경우는 잘 떠오르지 않아서 여쭙습니다. 아니면 제가 사실판단/가치판단 이라는 용어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걸까요?

마립간 2016-09-20 10:50   좋아요 0 | URL
syo 님, 댓글 감사합니다.

`여자는 남자보다 감정적이다` ; syo 님은 이 문장을 사실판단으로 보시나요, 가치판단으로 보시나요?

1. 저는 개인의 성향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마찬가지로 국민성이나 민족성도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런 언급은 반론을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남녀 성향에 대해서는 보다 더 강한 반론을 받고, 인종에 대해서는 저조차 언급을 회피합니다. 개인, 민족, 성별, 인종의 항목에 대해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이 각각 존재하지만 사회에서는 그것을 인정하지 않죠.

2. `성차에 작용하는 유전학적 요인이 크고, 유리 천장이라는 것에 어느정도 ˝자연˝스러운 면이 있다는 것은 확실히 인정할 수 있었다`라고 syo 님은 언급하셨는데, 저는 여성이 이런 언급하는 것을 처음 경험했습니다. 저는 이것도 사실판단이라고 보는데, 많은 여성은 이 문장을 언급하지 않는 것은 이 문장에 가치판단이 포함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으로 생각합니다.

3. 여성이 감정적인 것은 사실 여러 가지면에서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에도 유리 천장 (거미줄 천장) 위로 진입하는 것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단점이라고 판단한 것은 가치판단이죠.

저는 여성이 남성보다 감정적이다라는 말을 사실판단으로 하였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syo 2016-09-20 12:34   좋아요 0 | URL
저는 말씀하신 문장이 사실판단임이 명백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감정적이라는 것은 좋은 것인가?˝ 라는 전혀 별개의 가치판단을 거의 자동적으로 수반하는 데 다툼의 소지가 있긴 하지만요.

마립간님께서 말씀하신 취지를 좀 더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마립간님께서 하신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을 구분해서 설명하기 어렵다는 말씀을 저는, 특정한 명제는 사실판단인지 가치판단인지 확실히 정의하기가 어렵다는 말씀으로 들었는데, 실은 분리해서 생각해야 할 숨은 가치판단을 사실판단과 뭉뚱그려서 생각하는 태도를 재차 지적하신 거라고 고쳐 이해했습니다. 옳게 받아들인건지요?

제가 유리천장에 유전학적으로 자연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받아들이게 된 것은, 진화심리학을 좋아하는 제 관점도 작용했지만, 제가 견식이 짧아서 반대쪽 의견을 개진한 책들을 알지도 읽지도 못한지라 일단 현재 시점에서 그렇구나, 하고 넘어간 모양새에 가깝습니다. 저자가 내세우는 유전학적 논거에 딱히 반박하고 싶은 생각도 없었지만, 마음 먹었다 해도 반격할 탄약도 없었기 때문이지요.

음, 제가 넘겨짚은 것일 수도 있지만, 2는 문맥상 저를 여성으로 생각하고 계신 쪽으로도 읽힐 수 있기에 말씀드립니다. 저는 남자입니다^^;

마립간 2016-09-20 13:48   좋아요 0 | URL
syo 님을 여성으로 생각한 것 맞습니다. 지난 번 syo 님을 통해 페미니즘의 운동방식을 확인하고자 말씀드릴 때, syo 님의 성별을 타진한 의미도 있었는데, ...

사실판단, 가치판단 ; 분리해서 생각해야 할 숨은 가치판단을 사실판단과 뭉뚱그려서 생각하는 태도를 재차 지적하신 거라고 고쳐 이해`하셨다면 제 뜻에 동의하신 것에 불과합니다. 여성은 그 문장을 사실판단으로 생각지 않을 것입니다. (제 경험상에서는요.) 저와 그렇게 생각한 여성 중 누가 맞을까요?

syo 님과 저와 합의는 (유리천장을 포함해서) 그저 남성들의 합의네요.

제 앞 선 글에서는 사실판단, 가치판단, 감정평가 3 분류를 채택합니다. (misnomer죠. 사실평가, 가치평가, 감정판단이 맞는 말입니다만.)

syo 2016-09-20 14:15   좋아요 0 | URL
하하하, 실제로 제가 운동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남자라도 페미니즘 운동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ㅎㅎ

조금 실망하신 마립간님의 모습이 보입니다만 ㅎㅎㅎ

만일 제가 여성이었고, 여성으로서 마립간님과 지금 합의된 지점까지 합의가 되었다 한들, 그걸로는 여성(꼭 여성 전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적 다수의 여성으로 보더라도요)과의 합의가 이루어졌다고는 보기 어렵지 않겠습니까? 어차피 이성 전체와 상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고 한 명 한 명(그러다 가끔씩은 한 무리) 의견을 맞춰나가야 될 것 같아요.

마립간님의 다음 포스트를 기다립니다.

마립간 2016-09-20 14:41   좋아요 0 | URL
조금 실망한 것이 아니고 많이 실망했지만, 실망의 이유가 여성 편력 때문은 아닙니다. 반례 ... (반례는 여성의 이름이 아닙니다.^^)

제 글에 관심 가져주시고 글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syo 2016-09-20 1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관련해서 이런 생각을 해 봤습니다.
˝야, 넌 진짜 개새끼다.˝
이 문장은 사실판단일까요, 가치판단일까요?

마립간 2016-09-20 13:48   좋아요 0 | URL
가치판단이죠.

제 분류에는 주관적, 객관적, 간주관적의 정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100% 순수한 사실판단도, 100% 순수한 가치판단도 없지만, 대충의 갈기에 의해 나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