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사로서 정말 부담스러운 환자들의 생각
* 환자들은 환자를 부모나 형제같이 이해해달라고 합니다. 그러나 환자나 보호자들은 의사나 간호사를 아들이나 딸 같이 여기는가요. 부모로서 큰 아들이 둘째 아들을 치료하다 사망하면, 큰 아들에게 의료소송을 하겠는가.
# 의료는 해롭지 않다.
* 의료는 확률게임입니다. 이익(benefit)과 위험(risk)을 비교해서 어느 것이 더 이익인가를 비교해서 이익이 보다 많을 경우 의료행위를 시행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병증이 자신에게 발생할 수 있고 자신에게 발생하면, 합병증 발생 확률이 얼마이건 간에 자신에게는 100%와 같은 것입니다. <히포크라테스 말 중에 ‘환자를 내버려두어 나쁘게 되더라도 의사가 행한 행위가 환자에게 더 나쁘게 될 수 있다면 그 행위를 행하지 마라.’라는 이야기가 있답니다.>
# 돈 낸 만큼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
* 돈 낸 만큼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것은 옳은 생각입니다. 그러나, 그 서비스의 수준이 어디까지인가가 문제입니다. 환자 보호자가 자신의 일을 마치고 밤 10시 11시에 와서 의사에게 환자의 상태를 설명해 달라고 하며, 돈을 냈기 때문에 당연한 권리로 생각합니다.(일부이지만)
cf ; 경우에 따라서는 허준과도 같은 무한한 도덕성을 원하기도 합니다. (갑자기 노신(魯迅)의 단편 소설 중 학교 선생님에 관한 소설이 떠오른데 소설제목을 모르겠네요. - 추후 수정하겠습니다.)
# 치료를 받으면 호전되어야 한다.
* S 병원에서 K 교수님이 계셨습니다. 국내에서는 간질환에 관해 최고이셨지요. 간암 환자가 사망 직전에 그 교수님에게 한탄하며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답니다. ‘선생님이 시킨 대로 모두 다 했는데, 왜 좋아지지 않은 거죠.’
# 결과가 나쁘면 의사가 무엇인가 잘못한 것이다.
* 아마도 통계를 확인하지 않았지만, 요즘 사람들은 대부분 병원에서 사망하지 않나요. 어떤 이가 이런 주장을 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병원에서 사망을 한다. 병원을 없애야 된다. 병원에서 사람을 죽이고 있다.’ - 우습죠. 그러나 환자나 보호자(사망의 경우에는 환자가 주장할 수 없으니까.)가 주장이 논리적으로 위와 똑같이 적용되는 상황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