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날의 교양
* 육예
육예六藝는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를 말하여 이는 옛날 중국에서 교양 과목을 포함하여 엘리트들이 배우는 과목을 뜻합니다. 이는 예용(禮容)·주악(奏樂)·궁사(弓射)·마술(馬術)·서사(書寫)·산수(算數)를 의미하는데, 현대 용어로 바꾸면 예의 범절, 음악, 활쏘기(사격술), 말타기(자동차 운전), 글쓰기, 수학이라 할 수 있습니다.
* 7학
고대 그리스에서 삼학(음악, 산술, 기하)과 사학(천문, 문법, 논리, 수사)을 합쳐 7학이라 불렀습니다. - 하하하! 수학과 관련된 과목이 세 개나 있네!
이데아 Idea를 주장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추상적인 것에 가치를 두기도 했지만, 최대의 철학자 플라톤Platon은 ‘기하학을 모르는 사람은 이곳에 들어 올 수 없다.'라는 글귀를 아카데미아Academia의 입구에 써 놓았습니다.
* 수사학
말 잘하는 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직유(直喩)·은유(隱喩)·풍유(風喩)·환유(換喩)·제유(提喩)·성유(聲喩)·반어(反語) 등을 포함합니다.
* 근대 5종
승마(마술), 펜싱, 사격, 수영, 크로스 컨트리cross country(육상)를 말하는데 이는 근세 시대의 귀족들이 즐기던 스포츠이면서 전쟁 때 유용하게 사용했던 기술입니다.
* 현대 사회에 들어서기 전에 교육이란 것은 일반인은 생각할 수 없는, 귀족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교양을 포함한 교육은 그만한 사회적, 경제적 뒤받침을 할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