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E.T.)

 E.T(Extra Terrestrial)라는 영화도 있었고, 화성에서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물이 있었던 것 같다는 보고가 되고 있습니다.

 과연 외계인이 있을까. (종교계에서는 외계의 생명체를 거부하지만,) 과학자들은 생명체라는 것이 반드시 고등 생명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며 과학적 접근의 여지는 많습니다. 혹시 외계인을 만날 확률(통신으로)을 계산하는 공식을 보셨는지요.


 SETI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에서 사용되는 드레이크의 공식(Drake's Formula)


N = n* x fp x nl x fl x fi x fc x fL


n* ; 은하계에 존재하는 항성의 수, 약 10**12 으로 추정

fp ; 행성들을 지닌 항성들의 비율, ?

nl ; 생명체를 부양할 수 있는 행성을 지닌 이 항성들의 비율, 0.1

fl ; 실제로 생명체를 발전시킨 이들의 비율

fi ; 지적인 종을 발전시킨 생물 생활권의 비율, ?

fc ; 무선 통신을 개발한 지적 종의 비율

fL ; 무선 통신이 사용될 때 행성의 존속기간의 비율, 10**-7


N이 1보다 작다면 종교계의 주장이 틀리다고 말할 수 없지요. 확률적인 것이기는 하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태우스 2004-03-05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외계인이 있다면 웬지 우리에게 축복보다는 재앙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제가 너무 안좋은 SF만 봐서 그런지 몰라도요.

가을산 2004-03-05 1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ETI at home 의 공식 홈페이지에 가보세요. http://setiathome.berkeley.edu/
이곳은 미국 버클리대에 있는 연구소인데요, 남미의 Arecibo 천문대의 전파망원경에 잡힌 외계의 전파 중에서 외계문명에 의한 가능성이 있는 전파 - 즉, 비자연적인 주파수, 규칙성, 파장 등 - 를 찾아내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전파 자료의 양이 워낙 많아서 전 세계의 개인컴퓨터에 자료를 조금씩 나누어서 분석하는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최초로 이런 방법을 쓴 프로젝트입니다. 요즘은 여러 곳 있지만요.) 이 홈피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받으면 자동으로 자료를 다운받아서 컴퓨터를 쓰지 않을 때 화면보호기 프로그램으로 활성화되어서 자료를 분석합니다. 분석이 끝나면 자동으로 자료를 전송하고 다시 받는답니다.
작년 봄에 지난 몇년간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유력한 후보 파원이 있는 부분을 다시 촬영했습니다. 요즘은 그 재촬영된 전파정보를 분석중이라고 합니다.
제 컴에도 이 프로그램이 깔려 있어서 컴을 쓰지 않을 때 분석하고 있습니다.
쉬는 컴퓨터로도 좋은 일을 할 수 있고, 꿈이 꿈만은 아닌 것도 같은 느낌도 들고, 같은 프로그램을 깔아놓은 전세계 수만명의 네티즌들과 동지감도 느끼고.... ^^

전 외계인의 가능성을 당연하게 생각합니다.
그들과 접촉이 가능한지 불가는한지는 또 별개의 문제이구요.
외계인이 없다면?
" 그것은 엄청난 시공간의 낭비이다"" 라고 칼 세이건이 말했습니다. ^^ (제가 첨으로 누군가의 펜이 되었던 바로 그 천문학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