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최고의 10경>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한국영화 최고의 10경 - 영화평론가 김소영이 발견한
김소영 지음 / 현실문화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보지 않은 많은 영화들

- 공감이 안 되는 영화평 ; 한국 영화 10경

 이 책이 신간 평가단 도서로 선정되었다는 인터넷 글을 읽자 제일 먼저 목차를 확인하였습니다. 목차를 보는 순간, “아!”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왔습니다. 무슨 내용으로 서평을 쓰나?

 <금난새의 내가 사랑한 교향곡>을 받자마자 음악 CD를 찾았습니다. 음악을 듣지 않는다면 음악 에세이가 무슨 소용이람. <깐깐한 독서 본능>이나 <책탐>을 읽을 때는 제가 읽은 책을 먼저 확인하였습니다.

 영화평에 관련된 책이라면 당연히 영화를 먼저 봐야 할 것인데, 본 영화가 두 편입니다.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의 경우는 심리학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줄거리가 중요하므로 영화의 배경이나 배우의 연기가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영화최고의 10경이라고 칭하려면 꽤 많은 영화를 보고 비교할 수 있어야 하고 이 책 대부분의 영화는 봤어야 책을 읽을 맛이 날 것입니다.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 가이드> p80 이글턴은 "이론이 예술 작품을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있다"고 전제한 뒤, 그렇지만 "이렇게 풍부하게 설명하는 것은 오직 이론 자체의 논리로서만 그렇다. ; 영화없는 영화평은 가능한가?

 ‘하녀’라는 영화에 대한 것은 10년 전 쯤으로 기억됩니다. EBS에서 방송을 한 ‘시네마 천국’이라는 방송인데, 영화 ‘하녀’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 및 분석을 하였습니다. ‘언젠가 기회가 되면 보리라.’라 생각했지만 10년 동안 볼 기회가 없었습니다. 이와 같은 영화가 몇 개 있는데, ‘오발탄’, ‘갯마을’, ‘길소뜸’ 그리고 프랑스 영화 ‘나의 사랑 마리안느 Marianne de ma jeunesse’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보고 만 영화가 ‘뽕’, ‘아이다호 My Own Private Idaho’, ‘나이 하프 위크 Nine Half week’ 등이 있습니다. ‘지구를 지켜라’도 보고 싶었지만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한국 영화 최고의 10경>에서 제가 본 영화는 ‘올드보이’와 ‘괴물’입니다. 이 두 영화에 관하여 읽고, 읽고 또 읽어도 잘 모르겠습니다. 왜 10경에 선정되었는지. 한국 영화사적 의미의 영화인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특히 괴물은 재미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천년학’을 보지 못했지만 서편제 대신 ‘천년학’이 들어간 이유도 잘 모르겠습니다. 영화를 많지 보지 못했어도 <나의 인생은 영화관에서 시작되었다> 꽤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책탐>은 그 언급된 책들은 미처 읽지 않아도 이해가 되는 것과 대조됩니다.

 개인적으로 철학적 의미를 생각했던 영화와 너무 재미있었던 영화는 아래 리스트로 만들었습니다. (한국영화 11편; 하얀전쟁,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미술관 옆 동물원, 철없는 아내와 파란만장한 남편 그리고 태권소녀, 오! 수정, 결혼은, 미친 짓이다, /마부, 서편제, 뽕, 쉬리)

 세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첫째는 제가 영화를 충분히 보지 못했고, 한국 영화 10경을 이해할 만한 소양을 갖지 못했다. 10경은 맞는데, 글을 재미있게 쓰지 못했다. 이 책에 나온 영화 10경은 개인적인 취향일 뿐이다.

 (알라딘 신간 평가단 서평입니다.)

* 철학적 의미의 영화 ; http://blog.aladin.co.kr/maripkahn/2672787
* 재미있는 영화 ; http://blog.aladin.co.kr/maripkahn/26728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