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독서도 스스로 찾는 것

- 나의 독서 궤적과 이유

 이 책을 읽을 때의 느낌이 <연애, 오프 더 레코드>와 비슷합니다. 한 때는 연애에 관하여 관심이 많았지만 결혼하고 아이가 생기고 ‘연애’라는 단어는 점차 멀어지는 단어입니다. 아마 딸아이가 연애할 때 쯤 다시 관심을 가지려나?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도 좋은 책이기는 하나 저의 관심 밖의 이야기들입니다. 저는 작가도 아니고 ‘창조’에 관한 욕심도 없습니다. 책 내용 중 몇 가지 부분에서는 이미 실천하고 있는 것들입니다.

 저의 책 읽기의 이력은 (다른 곳에서도 여러 번 이야기하였지만) 물리를 중심으로 한 과학, 수학, 철학, 사회과학, 예술로 궤적을 그렸습니다. 이제 문학으로 발을 딛으려 합니다. 이 독서의 동력은 ‘호기심’입니다. 그리고 호기심에 대한 해답을 얻었을 때, 지적 유희를 느낍니다. 그리고 그것이 다입니다.

 독서의 방법론을 따지면 ‘파란여우’님 말씀하셨던 ‘고구마 뿌리 캐기’입니다. 책을 읽다 보면 새로운 의문이 발생합니다. (출판사의 상술이겠지만) 책의 뒷날개(뒤표지 안쪽)에 같은 계열의 책을 소개합니다. 더욱이 인터넷 서점의 경우, ‘이 책을 구입한 분들은 다른 저런 책도 구입하셨어요.’라고 소개합니다. (이것도 상술이겠지만.) 어떤 책을 처음 읽을 때 내용을 몰라 ‘안단테’ 속도로 읽던 것이, 두 번째 책을 읽을 때는 ‘비바체’로 읽을 수 있어 속도감을 느끼는 재미도 있습니다. 그래서 유사한 책을 한 두 권 더 읽게 됩니다. 한 권의 책이 완벽할 수 없기에 다른 책은 보완적인 역할을 하기도합니다.

 책꽂이의 책을 꽂는 방법도 도서관처럼 분류법을 이용했다가 자주 보거나 마음에 드는 순서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써 봤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3-4년에 한번 책을 총체적으로 정리합니다. (그리고 나서 몸살을 앓죠.) 초등학교 때 선생님께서 ‘책은 세 번은 읽어야 읽었다고 할 수 있다.’고 하셔 마음속에는 ‘세 번을 읽기 전에는 책을 읽은 것이 아니다.’라고 하나 막상 세 번 읽은 책은 몇 권 안 되고 같은 계열의 책을 3권 이상 읽습니다.

 직업상의 창조성은 교양 도서에서 얻을 것이 아니고, 교양 도서를 통해 ‘창조성’을 얻었다고 해서 크게 쓸모 있는 것 같지 않습니다. 저는 대입 논술이나 입사 시험과 무관합니다.

 그냥 궁금해서 책을 읽습니다. 그리고 독서는 가난한 살림에 재미있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효과적인 여가선용입니다. 저는 딸아이가 스스로 독서하길 기대만 하겠습니다. 저의 딸아이가 호기심이 없다면(, 있어도 인터넷 검색으로 만족한다면), 음악, 미술, 운동 등 다른 취미에 빠져 굳이 독서가 여가를 보내는 수단으로 필요하지 않다면, 굳이 다독을 강권하지 않겠습니다.

 (알라딘 신간 평가단 도서 서평입니다.)

cf 우리나라 부모님들은 아이들의 ‘호기심’을 말살시키는 방향으로 육아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 유머 ; 우리나라에서 대학을 순탄하게 들어가기 위한 3가지 조건 ; 할아버지의 재력, 어머니의 정보력, 아버지의 무관심 - 우리 딸아이는 3가지 모두 해당사항 없음.
* 다독多讀, 다색多索, 다작多作 ;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들었던 이야기
* 본격적으로 독서를 하게 된 계기는 ‘동아출판사’가 두산 그룹에 흡수된 뉴스를 접한 뒤입니다. ‘술 만드는 회사가 책 만드는 회사를 잡아먹었다?’ 저는 ‘항상 술값보다는 책값을 더 써야 된다.’는 마음가짐으로, 책을 읽거나 술을 마시지 말거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