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영희프리즘>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리영희 프리즘 - 우리 시대의 교양
고병권.천정환.김동춘.이찬수.오길영.이대근.안수찬.은수미.한윤형.김현진 지음 / 사계절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선구자

- 선구자는 외롭다.

 선구자 또는 선각자는 외롭기 마련입니다. 어는 대학 교수님은 “교수의 길은 뜨거운 아스파트 길을 맨발로 걸어가는 것과 같다.”고 하셨습니다. 남이 가지 않은 길을 개척의 길이기에 외롭고 고달픕니다.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 > p5 하지만 좋은 전망을 얻기 위해, 그리고 그 전망을 마음껏 즐기는 사치를 누리기 위해선 다소 험준하고 높은 곳에 오르는 수고를 마다해서는 안 됩니다. 인문학의 장르 중 가장 험하고 고도감이 높아 사람들이 쉽게 오를 수 없는 분야가 바로 시와 철학일 겁니다.

 선각자와 선구자의 차이를 이 서평을 쓰면서 찾아봅니다. 선각자는 먼저 깨달았지만 선구자는 깨달음과 동시 실천한 사람이 아닐까? 천문학자 박석재 선생님께서는 스티븐 호킹을 자연에 관하여 높은 곳에 아래를 내려다보는 분으로 묘사하셨습니다. (수학과 물리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있으므로.)

 저의 1970년대는 낭만의 시대였습니다. (초등학생이었으니.) 양정모 선수의 국내 최초 올림픽 금메달 획득, 에베레스트 산 국내 최초 등정, 기능 올림픽 세계 제패, 홍수환 선수의 권투에서 4전 5기 등. 그러나 겉으로 들어나는 것 외에 내부적으로도 역동적이었습니다. 저는 1980년대 알게 되었지만 고등학교 세계사 선생님께서 대학에 입학하게 되면 마르크스의 ‘자본론’조차도 표지가 바뀌어 흔하게 구하게 읽을 수 있다고 이야기 하셨습니다.

 마치 세포 분열의 주기 중에 ‘휴지기’가 휴지기가 아니고 간기間期인 것처럼.

 <전환 시대의 논리>를 읽었지만 그 책이 그토록 유명한 책인지 모르고 읽었습니다. 감동이 크지도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21세기를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시에 내부적으로 역동이 있다고 하여도 그것을 표현하는 것은 혁명과 같았습니다. <리영희 프리즘>을 읽고 조심스러운 것은 어떤 인물을 우상화 시키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의사로서 <명의 2>에 표현된 명의의 허전함을 느끼는 것과 같은 두려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영희 선생님께서 살던 시대의 명암은 분명했고 그것을 실천하셨습니다. 나타난 것만보아도 선각자를 넘어 선구자의 역활을 해 오셨습니다.

 리영희 선생님의 가치관을 모범으로 현대의 가치 판단 및 행동 결정이 중요한데, 한편으로는 영화 ‘데블스 에드버킷 The Devil's advocate’이 떠오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카오스 이론에서 나오는 다수의 변수와 짧은 주기의 교란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즉 과거에는 옳지 못함이 분명했는데, 현재 뭐가 옳은 것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극단적 상대주의로 무마하는 것이 옳은 것 같지도 않습니다.

 앞으로 전망에 대해 ‘리영희와 사회과학 ; 사회과학의 고민’과 ‘리영희와 청년세대 ; 냉소소주의 시대의 우상과 이성’ 글을 통해 고민을 하지만 은수미씨가 ‘글을 쓰겠다고 한 후 이번처럼 후회를 많이 해본 적이 없다.’라고 토로한 것처럼 명료함은 조금 떨어집니다.

 오히려 저는 2010년을 사는 우리에게도 잘 보이지 않을 뿐 내부적 역동성은 그대로 존재한다고 ; 마치 세포 분열 휴지기가 휴지기가 아니고 간기인 것처럼.

 (알라딘 신간 평가단 서평입니다.)

cf 영어라는 우상 ; 비만 환자가 의사에게 묻습니다. 어떻게 하면 비만을 치료하냐고 묻습니다. 의사는 대답을 합니다. 식사량을 줄이고, 고 칼로리 음식인 인스턴트 음식, 아이스크림 등을 삼가고 운동량을 조금씩 늘리면 된다고. 환자는 속으로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적게 먹고 운동하면 살 빠지는 것 누가 모르나? 먹고 싶은 것 먹고 귀찮은 운동 안 하면서, 날씬해지려고 의사에게 상담을 청한 것이지.’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이에자이트 2010-03-09 16: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환시대의 논리'나 '우상과 이성'을 실제로 읽어본 이가 얼마나 될까요.읽어봤다고 해야 뭔가 의식이 있어보이니까 읽었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을 것입니다.아마 앞으로는 리영희에 호감 가진 이들은 '리영희 프리즘'을 읽을 것이고 싫어하는 이들은 '억지와 위선'이라든가 월간조선 등을 읽지,더더욱 리영희의 저서는 읽지 않을 것입니다.

마립간 2010-03-09 17:06   좋아요 0 | URL
이 책을 읽으면 '우상과 이성'도 읽어봐야겠다는 느낌을 줍니다.

동대문도서관 2010-07-27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동대문도서관 입니다^^
『근대의 책 읽기』 저자 천정환 교수님의 강좌 <독자, 그들의 대한민국 - 근현대 문학과 독자의 문화사>가 9월 7일부터 매주 화요일 7시에 동대문도서관에서 열립니다.

강의에 관한 더욱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blog.daum.net/ddmlib/63